학술논문
Improving Acceptability of Goji Berry Functional Beverages through Multi-Ingredient Formulation: A Statistical Sensory Approach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Ho-Jong You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2권 제3호, 419~4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goji berry (Lycium barbarum) beverages with enhanced sensory quality through the addition of fruit extracts. Five formulation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extracts of dried goji berries, blended with varying proportions of concentrated apple and aronia extracts. Each beverage was adjusted to 7 of °Brix and standardized with citric acid and stevia to ensure consistent sweetness and acidity.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20 panelists using a 9-point hedonic scale to assess sweetness, sourness, bitterness, color,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ere confirmed through one-way ANOVA and Tukey’s HSD post-hoc t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were performed to explore patterns in the sensory data. The beverage formulation containing 70% goji berry extract, 15% apple extract, and 14.93% aronia extract, along with sodium citric acid and stevia, demonstrat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mong all samples. This was followed by the formulation composed of 70% goji berry extract, 15% apple extract, and 15% aronia extrac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dentified sweetness,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as the primary sensory attributes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with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accounting for 95.61% of the total varianc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further confirmed these findings by grouping the two formulations together based on their sensory profiles. In conclusion, blending goji berry extract with complementary fruit extracts such as apple and aronia significantly improves the sensory quality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functional bever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ptimized fruit blending may be a promising strategy for enhancing the palatability and marketability of goji-based health beverages.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인문학적 소양 및 감성지능이 도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 Improving Acceptability of Goji Berry Functional Beverages through Multi-Ingredient Formulation: A Statistical Sensory Approach
- 화장품 소재로서 유기농 탱자 열매 추출물의 효능 및 제형 안정성에 대한 평가
- Game player types and perceptual learning style preferences among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 크로스핏(Cross-Fit)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파크골프 참여자의 의사결정균형과 운동결과기대 및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 교육환경, 임상실습 시 경험한 무례함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구리 함량 변화에 따른 Metal Corrugated Cu-Chabazite 촉매의 HC-SCR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의 관계
- 12주간 맨손근력운동 수행이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혈청지질, 인슐린 및 C-peptide에 미치는 영향
- 미백 화장품을 위한 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능 연구
- α-MSH에 의해 유도된 B16F10 세포에서 Xanthium strumarium L.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인문학적 소양 및 감성지능이 도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 Improving Acceptability of Goji Berry Functional Beverages through Multi-Ingredient Formulation: A Statistical Sensory Approa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