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Donggye Jo Gwi-myeong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김민학(Min-hak Kim)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103호, 45~8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후기 문인 동계(東谿) 조귀명(趙龜命, 1693~1737)의 교유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세 범주로 구분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첫째, 풍양 조문의 중요한 문사(文士)로서 그는 가문 내에서 친족들의 교육을 전담하였다. 조귀명의 가르침은 문장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일상의 행동거지나 도리까지도 확장되었으며, 후대의 문인에게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귀명은 문인들과의 관계를 ‘심교(心交)’와 ‘문교(文交)’로 구분하였다. 유년기의 심교에 속하는 인물로 임상정(林象鼎)·김현택(金玄澤) 등이 있는데, 이들과의 교유의 중심에는 문장보다 마음이 있었다. 이후 함양·청주 체류기와 만년의 경사(京師) 생활기로 넘어가면서 문교가 활발해졌고, 이하곤(李夏坤)·이덕수(李德壽) 등의 문사부터 신진 문인 황경원(黃景源)까지 폭넓은 교유를 맺었다. 셋째, 정혜(定慧)·만훈(萬薰)·태우(泰宇) 등 승려들과의 교유에는 조귀명의 불가 인식이 잘 드러난다. 특히 생전에 편차한 문집에 승려들과 오간 10여 통의 서신을 그대로 수록한 것은 특이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ocial interactions(交遊) of Donggye(東谿) Jo Gwi-myeong(趙龜命, 1693~1737), a late Joseon literatus,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and clarifying their significance. First, as a prominent literary figure within the Pungyang Jo lineage, Jo Gwi-myeong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educating his relatives. His instruction extended far beyond the realm of writing—encompassing everyday conduct and ethical principles—and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subsequent generations of literati. Second, Jo Gwi-myeong distinguished his relationships with fellow men of letters into ‘heartfelt friendships’(simgyo) and ‘literary friendships’(mungyo). In his youth, figures such as Im Sang-jeong(林象鼎) and Gim Hyeon-taek(金玄澤) belonged to the realm of simgyo, characterized by emotional rather than literary exchange. As he later resided in Hamyang and Cheongju, and eventually settled in the capital(京師) during his final years, his literary friendships expanded considerably, spanning from established writers like Yi Ha-gon(李夏坤) and Yi Deok-su(李德壽) to younger literati such as Hwang Gyeong-won(黃景源) and Nam Yu-yong(南有容). Third, Jo’s interactions with the Buddhist monks Jeonghye(定慧), Manhun(萬薰), and Taewu(泰宇) reveal his keen perception of Buddhism. Notably, his decision to include over ten letters exchanged with these monks in his collected works—compiled during his lifetime—serves as a rare and distinctive example of such literary records.
목차
1. 서(緖)
2. 조귀명의 교유 양상 고찰
3. 결(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