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천 지역의 창의(倡義) 격문(檄文)과 진성이씨 가문의 창의 활동 - 임진왜란·무신란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The Declaration of War during Righteous Army Recruitment in the Yecheon region, and Righteous Army Recruitment activities of the Jin-seong Lee Family : focusing on the periods of the Imjin War and the Musin Rebellion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박정민(Jeong-min Par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103호, 7~4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임진왜란·무신란 시기에 이루어진 예천 지역의 창의(倡義) 활동과 격문(檄文)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2장에서는 『난중잡록』·『임진일기』·『진사일기』·『창의록』을 통해 임진왜란 시기 예천 지역 의병의 활동을 살피고, 격문을 통해 사류(士類)의 동질성과 대결집이 창의의 핵심 논리로 설정되었음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무신창의록』을 통해 무신란 시기 예천 지역 의병의 활동을 살피고, 격문을 통해 예천 지역의 충의(忠義)와 이질성이 창의의 핵심 논리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임진왜란기의 창의 경험이 신속한 거병을 가능하게 한 바탕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예천 지역 진성이씨 가문이 학연·지연·혈연·혼연의 4대 축을 매개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예안·안동 등 인근 지역 인사들과 직접 소통하며 창의 활동을 전개하였음을 고찰하였다. 예천 지역의 창의 기록과 격문을 통해, 전쟁의 성격에 따라 창의의 논리가 달라지며, 창의 경험이 후대의 창의를 가속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문의 인적 인프라가 지역적 창의 활동을 주도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필두로 향후에는 창의 격문을 상호 비교하고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우리나라의 ‘창의의 전통’이 입체적·실증적으로 규명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examines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and war manifestos in the Yecheon region during the Imjin War and the Musin Rebellion. In Chapter 2, I examined the uprising and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Yecheon region during the Imjin War through 『NanJungJabRok(亂中雜錄)』, 『Imjin Diary(壬辰日記)』, 『Jinsa Diary(辰巳日記)』 and 『Changuirok(倡義錄)』, and I confirmed that the homogeneity and great unity of many kind of Sa(士) were established as the core logic of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through the declaration of war. In Chapter 3, I looked at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Yecheon region during the Musin Rebellion period through the 『Musin Changuirok(戊申倡義錄)』, and through the declaration of war, I learned that the loyalty and heterogeneity of the Yecheon region were set as the core logic of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In Chapter 4, I examined the Jinsung(眞城) Lee Family formed interpersonal networks centered on four axes: school ties, regional ties, blood ties, and marriage ties, and through this axes, they were abl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people in nearby areas such as Yean and Andong and carry out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After examining the records of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and the declaration of war in the Yecheon region, I realized that the logic of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chang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ar, and that experiences of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accelerate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of later generations. I also able to learned that the human infrastructure of some family is the driving force behind local militia uprisings. I hope that, starting with this study, future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declarations of war in a diachronic manner, so that our country’s ‘tradition of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can be elucidated in a three-dimensional and empirical manner.

목차

1. 서론
2. 임진왜란기 격문, 외세 침탈에 항거하는 사류의 대결집
3. 무신란기 격문, 불의의 불명예를 사절하는 지역적 결집
4. 예천 지역 창의의 전통과 진성이씨 일가의 역할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민(Jeong-min Park). (2025).예천 지역의 창의(倡義) 격문(檄文)과 진성이씨 가문의 창의 활동 - 임진왜란·무신란 시기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 7-44

MLA

박정민(Jeong-min Park). "예천 지역의 창의(倡義) 격문(檄文)과 진성이씨 가문의 창의 활동 - 임진왜란·무신란 시기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2025): 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