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Role of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남미(Nam Mi Kim) 김재경(Jae 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1호, 7~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법·제도적 지원과 심리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실증 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던 반면,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법·제도적 지원과 심리적 자본을 매개 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전국의 경찰공무원 5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PROCESS Macro(Model 6)를 활용하여 이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문화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법·제도적 지원 과 심리적 자본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문화가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 는 영향을 강화하는 데 있어 법·제도적 지원과 심리적 자본이 중요한 매개 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조직문화의 개선과 함께 법·제도적 지원의 강화 및 심리적 자본의 육성이 필수적임을 시 사한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직무환경 개선과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며, 향후 조직 운영 전 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and empirical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capital. While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take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by incorporat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capital as mediating variabl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11 police officers across the country, and PROCESS Macro (Model 6) was utilized to test the dual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satisfac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capital. Notably, these mediating factors were found to play a crucial role in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ing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requires not only enhancing organizational culture but also reinforc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fostering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within police organizations and serves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법·제도적 지원과 심리적 자본의 역할 분석
- Implication of comparsion on the control theories and feminist theories influenced by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 정신질환 보호관찰 대상자의 효과적인 관리 및 개선방안
- 경찰국 설치에 관한 쟁점 및 타당성에 관한 논의: 경찰통제 기능을 중심으로
-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경찰 치안 기술의 변화 : AI 기반 경찰활동의 변화와 위험성 논의
- SNS모방충동이 자해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해동기요인을 중심으로
- 자기기입식 면담과 라인업 구성이 목격자 기억에 미치는 영향
- 경찰관의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 척도개발 연구
- 학교폭력 피해 경험 영향 요인 연구
- 부모의 범죄 이력이 자녀의 범죄 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자녀 간 분리 경험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 배우자 폭력 피해에서 발생하는 강압적 통제에 관한 연구: 외현적 폭력과 내현적 폭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격 5요인 기반 나르시시즘 척도 축약형 (Five Factor Narcissism Inventory-Short Form; FFNI-SF) 타당화
- 지역애착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 긴급응급조치 판단조사표 사례 분석을 통한 스토킹 범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경험에 따른 인식이 사이버 보안 경각심에 미치는 영향
-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