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상훈(Sang H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1호, 149~16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부모학대, 부모방임, 우울감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사 회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들이 가정 내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요인들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학교폭력 피해 가능성을 예방하고 건강한 사회적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청 소년의 부모학대, 부모방임, 우울감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학대는 학교폭력 피해 가능성을 약 1.799배 증가시키며, 부모방임은 약 2.783배, 우울감은 약 2.206배 증가시키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환경과 정서적 요인이 학교폭력 피해 가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토하 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학대와 방임은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교폭력 피 해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우울감은 청소년의 심리적 취약성을 심화시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부모학대, 부모방임, 우울감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부정 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가정환경 개선과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정책적 접근은 청소년들이 건강한 가정환경 과 학교생활을 통해 안전하고 긍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to propose policy and social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finding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negative factors experienced by adolescents within the family on their school lif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preven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promote the formation of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al abus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by approximately 1.799 times, parental neglect by approximately 2.783 times, and depression by approximately 2.206 times.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family environment and emotional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likelihood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arental abuse and neglect negatively affect adolescents' self-esteem and ability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Depression further exacerbates adolescents'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making them more prone to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In conclusion,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requires improving the family environment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hese policy approaches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foundation where adolescents can grow safely and positively within both their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의 방법
4. 분석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법·제도적 지원과 심리적 자본의 역할 분석
- Implication of comparsion on the control theories and feminist theories influenced by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 정신질환 보호관찰 대상자의 효과적인 관리 및 개선방안
- 경찰국 설치에 관한 쟁점 및 타당성에 관한 논의: 경찰통제 기능을 중심으로
-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경찰 치안 기술의 변화 : AI 기반 경찰활동의 변화와 위험성 논의
- SNS모방충동이 자해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해동기요인을 중심으로
- 자기기입식 면담과 라인업 구성이 목격자 기억에 미치는 영향
- 경찰관의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 척도개발 연구
- 학교폭력 피해 경험 영향 요인 연구
- 부모의 범죄 이력이 자녀의 범죄 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자녀 간 분리 경험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 배우자 폭력 피해에서 발생하는 강압적 통제에 관한 연구: 외현적 폭력과 내현적 폭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격 5요인 기반 나르시시즘 척도 축약형 (Five Factor Narcissism Inventory-Short Form; FFNI-SF) 타당화
- 지역애착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 긴급응급조치 판단조사표 사례 분석을 통한 스토킹 범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경험에 따른 인식이 사이버 보안 경각심에 미치는 영향
-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