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Development of Work Life Balance for Police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윤병훈(Byoung Hoon 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1호, 119~1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활용된 일과 삶의 균형 척도를 토대로 타당도 분석을 통해 경찰관의 일과 삶의 균형 척도를 개 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일과 삶의 균형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 표성 있는 척도 2개를 도출하였다. 서울 및 경기북부지역에 근무하는 경찰관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ㆍ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일과 여가 균형, 일과 성장 균형, 일 과 가정 균형, 전반적 균형 등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5개의 문항이 삭제되었다. 이 연구는 그간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미진행된 일과 삶의 균형 척도 개발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세대나 계급, 그리고 업무형태 등 일과 삶의 균형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표본설계의 한계로 인해 대표성 문제는 한계로 지적된다.
영문 초록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ale on police officer’s work life balance which based scale on work life balance to precedent research. I reviewed comprehensive studies as work-life balance and extract two scales on work life balance to precedent research. Questionnaire study is started for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and Gyeonggi Bukbu Provincial affiliated 300 Police Police Officers. For procee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4 factors was extracted like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overall balance. but they was deleted 5 ques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work-life balance scale specifically for police organizations that had not been previously address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ampling design that did not account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eration, rank, and work type, which could influence work-life balance factors, issues of representativeness are pointed out as a limitation.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설계
4. 분석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법·제도적 지원과 심리적 자본의 역할 분석
- Implication of comparsion on the control theories and feminist theories influenced by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 정신질환 보호관찰 대상자의 효과적인 관리 및 개선방안
- 경찰국 설치에 관한 쟁점 및 타당성에 관한 논의: 경찰통제 기능을 중심으로
-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경찰 치안 기술의 변화 : AI 기반 경찰활동의 변화와 위험성 논의
- SNS모방충동이 자해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해동기요인을 중심으로
- 자기기입식 면담과 라인업 구성이 목격자 기억에 미치는 영향
- 경찰관의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 척도개발 연구
- 학교폭력 피해 경험 영향 요인 연구
- 부모의 범죄 이력이 자녀의 범죄 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자녀 간 분리 경험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 배우자 폭력 피해에서 발생하는 강압적 통제에 관한 연구: 외현적 폭력과 내현적 폭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성격 5요인 기반 나르시시즘 척도 축약형 (Five Factor Narcissism Inventory-Short Form; FFNI-SF) 타당화
- 지역애착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 긴급응급조치 판단조사표 사례 분석을 통한 스토킹 범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경험에 따른 인식이 사이버 보안 경각심에 미치는 영향
-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