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ormation and Early Church: Reformation and Biblical Interpretation — With Reference to Genesis 1-2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서원모(Won-Mo Suh)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8호, 257~2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종교개혁자들이 성경을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사례를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루터와 칼뱅의 창세기 1-2장의 해석을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과 비교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창세기 1장과 2장의 불일치를 동시창조와 시간적 섭리라는 관점에서 해석하여 고대 교부 중 가장 독창적인 해석을 보여주었다. 반면 루터와 칼뱅은 창세기 2장을 재진술과 부연설명이란 관점에서 설명하고, 아우구스티누스의 동시창조론을 문자적 해석에서 벗어난다고 비판하며, 육일동안에 창조가 일어났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창조의 육일 해석을 제외하면 루터와 칼뱅, 특히 루터는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을 상당 부분 수용했다. 루터와 칼뱅은 창세기 주해에서 많은 부분 일치하지만, 칼뱅은 루터보다 자연철학 지식을 더 적극적으로 수용했고, 성경 본문의 적응적 성격을 강조했다. 또한 루터는 창조된 자연 질서가 죄로 인해 폐기되거나 황폐화되어 흔적을 찾기 어렵다고 보았다면, 칼뱅은 원래의 질서가 어느 정도 보전되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본고는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와 칼뱅이 모두 성경 본문을 본래적/문자적으로 해석한다는 원칙에 따라 주석을 시도했지만, 해석 방식과 본문 이해에서 차이를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하였고, 현대 주석가들은 창세기 1장과 2장을 조화적으로 이해하는 루터와 칼뱅보다는 차이점을 강조하는 아우구스티누스에 더 가까울 수 있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문자적/역사적 해석이 얼마나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지금 여기서 우리의 성서해석을 만들어가는 작업이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와 칼뱅의 신학적 유산을 이어가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illustrate how Protestant Reformers interpreted the Bible. To achieve this goal, it analyzes expositions of Genesis chapters 1-2 of Luther and Calvi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ugustine. Augustine solved the discrepancy between Genesis 1 and 2 in terms of simultaneous creation and historical unfolding, providing the most creative interpretation among church fathers. Luther and Calvin explained it with reference to recapitulation and expanded description, criticized Augustine’s theory of simultaneous creation for departing from the literal interpretation, and emphasized the creation for six days in the ordinary meaning. Except for comments on the Hexameron, however, Luther and Calvin, especially Luther considerably accepted Augustine’s exposition. While Luther and Calvin agreed in many points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beginning two chapters of Genesis, Calvin took much more positive stance toward the findings of natural philosophy and stressed the accommodated nature of the Scriptural text. Luther thought that the original order of creation had been so destroyed and annihilated through sins of human beings that it could not be found in the present. In contrast, Calvin, emphasized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ord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hile Augustine, Luther and Calvin all sought to expound the Biblical text according to the proper/literal interpretation, they revealed differences in their way of commenting on and understanding the Scriptural text. Modern commentators may be nearer to Augustine in his emphasis on the diversity between Genesis 1 and 2 than Luther and Calvin who strove to harmonize these two chapters. In concluding remarks, this study illustrates how diversely the literal/historical interpretation may be understood, underlining the effort to provide our own interpretation of the Bible here and now as the way of inheriting the theological legacy of Augustine, Luther and Calvin.
목차
I.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세기 해설과 성경해석학
II.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뱅의 창세기 해설과 성경해석학
III.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종교개혁과 성공회
- 제네바 종교개혁 ― 역사적 배경과 신앙적 목적
- “오직 그리스도만이” : 루터의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 칼빈의 신론(神論)
-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 종교개혁과 사회 변화 ― 하나님의 나라 관점에서 ‘일상의 성화’와 ‘정치-경제 권력의 공공성’ 중심으로
-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개척자 기욤 파렐의 영성과 목회신학
- 종교개혁자들(루터와 칼빈)의 교회관과 한국교회 개혁의 과제
-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
- “고발하는 율법”과 “살리는 복음” : 마르틴 루터의 율법과 복음 구별하기
-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
- 종교개혁과 고대 교회 : 종교개혁과 성서해석 — 창세기 1-2장을 중심으로
- [권두 칼럼] 루터의 구원의 고민의 결정(結晶)
- 프로테스탄트 국가주의의 말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