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formers’ Theology on Sacrament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강근환(Keun-Whan Kan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8호, 83~1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교개혁의 시발이 되었던 루터의 95개 조항은 교황청에서 발부하여 판매되고 있는 면죄부에 대한 부당성을 이신칭의의 체험으로 개심한 루터가 지적하고 항거인 것이다. 부패한 교황청이 면죄부를 발부할 수 있었던 신학적 근거는 중세 가톨릭교회의 오용된 성례전에 있었다. 루터를 비롯한 종교개혁자들이 면죄부를 발부한 교황청에 대하여 항의하였던 것은 성례전적인 신학논쟁 내지는 개혁운동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종교개혁의 신학적 핵심 문제(issue)는 성례전이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을 고찰하였다. 먼저는 중세 가톨릭교회를, 다음으로는 종교개혁자들의 루터와 쯔빙글리 그리고 칼빈의 성례전 신학을 다루고, 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에서는 성만찬론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된다.
영문 초록
The main reason of M. Luther’s The Ninety-five Theses event was a protest against the abuse of indulgences that the corrupted papacy had been issuing and sailing. The theological foundation to issue the indulgences was the papacy’s wrong interpretationon on sacrament. And, the reason why the Reformers beginning Luther, Zwingli and Calvin altogether protested to the papacy was theological dispute or reformational movement on sacrament. Thus, the theology on sacrament could be viewed as the core theological issue of the Reformation. On such a predestination this study would be dealt with the Reformer’s theology on sacrament: firstly, the Roman Catholic, and next Luther, Zwingli and Calvin mainly on the doctrine of Lord’s Supper.
목차
I. 서론
II. 중세 가톨릭교회의 성례관
III. 루터와 쯔빙글리의 성례관
IV. 칼빈(John Calvin, 1509-1564)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종교개혁과 성공회
- 제네바 종교개혁 ― 역사적 배경과 신앙적 목적
- “오직 그리스도만이” : 루터의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 칼빈의 신론(神論)
-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 종교개혁과 사회 변화 ― 하나님의 나라 관점에서 ‘일상의 성화’와 ‘정치-경제 권력의 공공성’ 중심으로
-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개척자 기욤 파렐의 영성과 목회신학
- 종교개혁자들(루터와 칼빈)의 교회관과 한국교회 개혁의 과제
-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
- “고발하는 율법”과 “살리는 복음” : 마르틴 루터의 율법과 복음 구별하기
-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
- 종교개혁과 고대 교회 : 종교개혁과 성서해석 — 창세기 1-2장을 중심으로
- [권두 칼럼] 루터의 구원의 고민의 결정(結晶)
- 프로테스탄트 국가주의의 말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