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uther’s on Christology Grounded Soteriology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김균진(Kyuun-Jin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8호, 13~4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세기 스콜라 신학을 충실히 공부하였던 수도사 루터는 그에게 영향을 준 옥캄의 유명론의 세미펠라기아니즘의 구원론을 거부하고, 바울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론에 눈을 뜨게 된다. “탑 속의 체험”에 얻은 그의 확신에 따르면 비록 세례를 받고 죄 용서를 얻었다 할지라도 인간의 마음깊은 곳에는 죄의 욕망(concuspicentia)이 숨어 있다. 그러므로 비록 성인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업적을 통하여 인간은 구원에 이를 수 없다. 구원의 길은 “하나님의 지혜”이신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안에 있다.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원자다. 이 같은 통찰을 통해 루터의 구원론은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곧 칭의론으로 전개된다.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은 그 속에 사회 정치적 함의를 가진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원자요, 그의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신자들의 믿음에 있다면, 구원의 중재자인 성직자 계급과 교황체제가 무너지게 된다. 그 당시 유럽 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사회 정치적 세력이 무너진다. 바로 여기에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의 사회 정치적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Martin Luther, who studied in his time as a young monk the scholastic theology of the Middle Age very throughly, was influenced by semipelagianistic soteriology of the nominalism of Occam. But through his very concentrated study in Bible as Bible Professor he accepted the theological insights of the Apostel Paul and Augustinus into justification “sola gratia,” “sola fide” and “solo Christo.” He turned from the soteriology of Semipelagianism to the soteriology on Jesus Christ grounded. For Luther Jesus Christ crucified only (Solus Christus) was the Saviour and the head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When the Christians get their salvation only through their faith from Jesus Christ personally, the special class of the clericals as the mediators of salvation between God and men is abolished. In the Middle Age it was the greatest revolution as well in religious dimension as in the social, political dimension. Here is the social and political meaning of Luther’s soteriology on the crucified Christ grounded.
목차
I. 루터의 구원론의 역사적 배경 : 스콜라 신학의 세미펠라기우스적 구원론
II. 세미펠라기우스적 구원론에 전제된 하나님과 인간의 존재유비
III. 후기 스콜라 신학에서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으로 전환
IV. 오직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만이!
V.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루터의 부인
VI. “모든 독재자들과 간수장들이 쫓겨나고, 생명과 정의의 주님께서 그들의 자리에 등장하였다” ―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의 사회 정치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종교개혁과 성공회
- 제네바 종교개혁 ― 역사적 배경과 신앙적 목적
- “오직 그리스도만이” : 루터의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 칼빈의 신론(神論)
-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 종교개혁과 사회 변화 ― 하나님의 나라 관점에서 ‘일상의 성화’와 ‘정치-경제 권력의 공공성’ 중심으로
-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개척자 기욤 파렐의 영성과 목회신학
- 종교개혁자들(루터와 칼빈)의 교회관과 한국교회 개혁의 과제
-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
- “고발하는 율법”과 “살리는 복음” : 마르틴 루터의 율법과 복음 구별하기
-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
- 종교개혁과 고대 교회 : 종교개혁과 성서해석 — 창세기 1-2장을 중심으로
- [권두 칼럼] 루터의 구원의 고민의 결정(結晶)
- 프로테스탄트 국가주의의 말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