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urch and State from Reformed Perspectives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김재성(Jae-Sung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8호, 185~2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회와 국가는 서로 다른 영역을 독자적으로 주관하는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하여 권위를 위임받은 기관들이다. 하나님께서는 국가와 교회를 세우도록 허용하시고, 구원 사역을 진행하시는데 사용하여 왔다. 국가가 교회를 합당한 이유 없이 핍박하는 경우에는 저항할 권리가 성도들에게 주어져 있음을 강조한 것은 16세기 종교개혁자들부터이다. 루터는 영적인 권세와 세속적인 권세를 구별했으며, 칼빈은 세속 정부의 역할이란 최고 권위인 하나님의 주권에 귀속되어야 할 것을 역설했다. 칼빈의 영향을 받은 위그노들과 청교도들은 교회가 세속 권세와의 대립 관계에 처해있던 시대에 살면서 포악스러운 군주에의 저항권에 대해서 진전된 의견을 제시했다. 새뮤얼 러터포드와 그로티우스가 일반 저항권에 대해서 구체적인 견해를 발전시켰고, 서구 유럽에서 민주주의 발전에 따라서 국가가 법치주의를 실현하도록 헌법을 제정하는데 교회가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교회는 세속화된 국가를 향해서 막중한 선지자적인 사명이 있으며, 정치인들이나 행정 관료들에게 인간의 권리와 가치에 대한 궁극적 진리를 제시해야만 한다.
영문 초록
Church and state had been carrying out it’s own authority for ruling each different domain ultimately for the glory of God. For the purpose of redemptive goal, God revealed the law and the social system graciously. In the Reformation time, the right of the religious resistance appeared against the tyranny of Roman catholic papacy. Luther distinguished the spiritual authority from the secular power of magistrates. Particularly, Calvin claimed the independent spirit of Geneva church from a civil government for the glory of God who has the absolute sovereignty over both church and state. From Calvin’s influence Protestant church tried to advance the natural right of believers against an unlawful tyranny of the state. Huguenot and Puritan could build up the sprit and rightful strategies in the religious war under a severe persecution from the civil authorities of state. Samuel Rutherford and Grotius published the concrete theory on the covenant of constitution among people, church, and state. While the church has own prophetic mission to promote God’s ultimate will on the state, human rights and dignity must be protected by the civil power in control of a sinful desire.
목차
I. 서론
II. 세속 권세에 관한 성경적 교훈들
III. 극대화된 교회 권세
IV. 시민주의, 사회적 언약론 그리고 권력체제 이론들
V. 루터의 두 가지 왕국
VI. 칼빈의 정치사상과 제네바 교회
VII. 교회의 저항권 확립
VIII.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종교개혁과 성공회
- 제네바 종교개혁 ― 역사적 배경과 신앙적 목적
- “오직 그리스도만이” : 루터의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 칼빈의 신론(神論)
-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 종교개혁과 사회 변화 ― 하나님의 나라 관점에서 ‘일상의 성화’와 ‘정치-경제 권력의 공공성’ 중심으로
-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개척자 기욤 파렐의 영성과 목회신학
- 종교개혁자들(루터와 칼빈)의 교회관과 한국교회 개혁의 과제
-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
- “고발하는 율법”과 “살리는 복음” : 마르틴 루터의 율법과 복음 구별하기
-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
- 종교개혁과 고대 교회 : 종교개혁과 성서해석 — 창세기 1-2장을 중심으로
- [권두 칼럼] 루터의 구원의 고민의 결정(結晶)
- 프로테스탄트 국가주의의 말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