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olitical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in Case of North Korea: From 1945 through 1950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서광선(Kwangsun Suh)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2호, 313~35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필자의 “자전적(自傳的)” 사회정치적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여 1945년 해방 이후 1950년 한국 전쟁 발발까지의 북한의 공산당 정부와 기독교와의 관계를 서술한 것이다. 소비에트 러시아가 북위 38도 이북으로 진주하면서 공산주의 러시아의 지원으로 수립된 북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은 천주교와 개신교 모두를 친미반공 종교로 규정하고 종교 활동을 규제하고 탄압하였다. 해방 이후 북한의 기독교 지도자들이 기독교 정당 등을 창설하여 민주주의 정치를 표방하였으나 모두 탄압되고 활동은 정지되었다. 급기야 6.25 전쟁이 터지고 필자의 부친 서용문 목사는 체포되어 행방불명이 되었다가, 남한의 국군과 유엔군이 1950년 9월 평양을 탈환하는 가운데 북으로 도망가는 인민군에 의하여 총살당했다. 그는 다른 수많은 북한의 기독교 지도자들과 함께 순교자의 반열에 오른다.
영문 초록
This is a socio-political biography of the author who lived through the turbulent time in North Korea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until the devastating Korean War of 1950-53. Telling the story of his preacher father who ministered in the North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 author reveals the church-state relationship, during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Soviet-backed North Korean Communist government, namel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ti-US Communist North Korean government was suspicious of the Christian churches, both Protestant and Catholic, as anti-Communist and began oppressing the various church activities, including the Sunday worships and the Christian leaders’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church-related political parties. The story ends with the author’s finding his preacher father’s body riddled by the bullets of North Korean soldiers’ firing squad in October, 1950.
목차
2014년 8월 15일 아침에
해방의 정치사, 분단극복의 정치사(政治史)
해방과 분단의 북한 학교생활
북한 교회의 목회생활
북한 해방정국의 공산주의화
1946년 11월 3일 이후, 북한 교회와 공산정부의 갈등
1950년 6월 25일
목사 아버지의 순교
2014년 6월 서울에서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신학의 정절(貞節)
- 스크랜턴 -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선교 이야기 : 이덕주, 『스크랜턴,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 선교 이야기』(공옥출판사, 2014)
- [편집 후기] “보수”와 “진보”의 평행선을 넘어서
- 한국교회 평신도교육의 오늘과 내일
- 한국에서의 국가와 교회
- 한국 진보신학의 오늘과 내일
- 한국기독교의 정치사 (II): 공산치하의 북한교회 1945년에서 1950년까지
- ‘세월호 이후,’ 도로테 죌레의 『고난』을 다시 읽다 : 도로테 죌레, 채수일·최미영 공역, 『고난』 (한국신학연구소, 1993)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죽산(竹山) 박형룡과 장공(長空) 김재준의 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어제와 오늘
- 한국교회의 예배와 그 미래의 전망
- [특별좌담] 한국 신학계의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의 진솔한 대담
-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유형: 어거스틴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 임락경, 『임락경의 우리 영성가 이야기』 (홍성사, 201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