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end of the Educational Theology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손승희(Seunghee Sohn)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2호, 145~17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주요경향을 개관하고 그런 경향이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미친 영향을 살피고자 하는데 있다. 한국교회에서 발견되는 많은 교육신학의 모델 혹은 유형들 가운데에서 주류를 대표하는 네 개의 모델을 선택하였다. 1) 자유주의 교육신학 모델: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이상적 목표로서 “그리스도와 같은 인격”의 형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2) 신정통주의 교육신학 모델: 학습자가 “기독교신앙을 받아들이는 결단”에 이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복음주의 교육신학 모델: 교육을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이라고 본다. 4) 해방교육신학의 모델: 기독교교육을 하나의 “정치적 행위”라는 확신을 기초로 하는 교육이며 여기에는 민중으로 하여금 “메시아적 백성”이 되게 하는 민중해방교육신학모델과 여성해방을 위한 투쟁에 여성들을 참여케 하는 여성해방교육신학 모델이 포함된다. 이들 모델들은 오늘의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 현장에 그대로 공존하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오늘의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특징 중 하나는 윤리적 판단에 있어서 과격한 분열현상이다. 즉 개인구원과 사회구원 중 어느 쪽을 윤리적 지향의 목적에 두느냐에 따른 분열이다. 신앙형성과정에 대한 교육신학자들 간의 차이도 두드러진다. 한쪽에서는 학습자가 “성숙한 신앙”을 갖도록 양육되어야 한다고 확신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학습자는 신앙적 상상력을 통해 “초월적 신앙”에 도달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영문 초록
It is the purpose of this essay to survey the main trends of the educational theology in the Korean church, examining their influence on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Christian education. There are four models of educational theology representing the main trends of Christian education: 1) The liberal model, which emphasizes the educational efforts to build the Christ-like personality as it is the ideal aim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ults, 2) The Neo-orthodox model, which suggests the education should lead the learner to make a decision of accepting Christian faith, 3) Evangelical model, in which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work of conveying the message of salvation, 4) Liberation model, including the Minjung model and the feminist model, which asserts that Christian education is a political act. Emerging sequentially in time, all of these models still remain influential in the Korean church today, showing a grace of differenc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urch’s educational theology is the radical division between the ethical orientation toward the personal salvation and toward the social salvation. Another is an apparent conflict on the faith-building process. For instance, a group of educators assume that the learners should be nurtured to have “the mature faith” while the other group has a conviction that they should reach to “the transcendental faith” through faithful imagination.
목차
머리에
1. 자유주의 교육신학: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형성
2. 신정통주의 교육신학: 기독교신앙의 결단으로 이끄는 교육
3. 복음주의 교육신학: 구원의 메시지를 전하는 일
4. 해방교육신학: 기독교교육은 정치적 행위
5. 차이, 성숙, 변화
맺는 말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신학의 정절(貞節)
- 스크랜턴 -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선교 이야기 : 이덕주, 『스크랜턴,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 선교 이야기』(공옥출판사, 2014)
- [편집 후기] “보수”와 “진보”의 평행선을 넘어서
- 한국교회 평신도교육의 오늘과 내일
- 한국에서의 국가와 교회
- 한국 진보신학의 오늘과 내일
- 한국기독교의 정치사 (II): 공산치하의 북한교회 1945년에서 1950년까지
- ‘세월호 이후,’ 도로테 죌레의 『고난』을 다시 읽다 : 도로테 죌레, 채수일·최미영 공역, 『고난』 (한국신학연구소, 1993)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죽산(竹山) 박형룡과 장공(長空) 김재준의 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어제와 오늘
- 한국교회의 예배와 그 미래의 전망
- [특별좌담] 한국 신학계의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의 진솔한 대담
-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유형: 어거스틴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 임락경, 『임락경의 우리 영성가 이야기』 (홍성사, 201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