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Progressive Theology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김경재(Kyoungjae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2호, 111~1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진보신학의 동향과 그 과제를 개론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진보신학’이라는 명칭은 한국의 교계나 신학계에서 ‘보수신학’이라는 표현에 대비하여 사용하는 호칭을 일컫는데 다음 같은 경향성을 공통적으로 띤다: (i) 세계 신학계의 비평적 성경연구 방법의 수용(ii) 복음과 상황과의 변증법적 관계 (iii) 세계교회협의회의 에큐메니칼신학운동 참여 (iv) 토착적 한국신학 형성추구 (v) 십자군의 영성을 지양한 십자가의 영성을 추구함.
오늘날 한국 신학계의 진보적 신학운동은 다섯 가지 신학써클을 통하여 전개된다: (i) 통전적 조정신학 운동 (ii) 민중지향적 사회-정치신학 운동 (iii) 종교-문화신학 운동 (iv) 여성신학 운동 (v) 생태학적 자연신학 운동. 논문에서는 진보신학의 현황과 미래과제를 살펴보았는데, 내일의 과제들은 진보신학에 걸맞는 교회론의 강화, 진보신학운동의 대중화, 21세기 지식인들이 고백하는 하나님론의 새로운 정립, 그리고 종교개혁 정신의 근본적 재성찰, 그리고 세계신학계에 공헌해야 할 동아시아 영성 신학 정립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s a bird’s eye view of Korean Progressive Theology, which is a common title in contrast to Korean Conservative Theology. In a broad sense Progressive Theology in Korea shows some marked trends of doing theology such as acceptance of biblical criticism , dialectical method between Gospel and situation, commitment to the ecumenical movement of WCC through investigation into indigenous theology, and pursuit for the spirituality of crucifixion.
Making a general survey of Progressive Theology in Korea, this essay classifies Progressive Theology of Korea into five large groups: (i) theology of modulation (ii) Minjung-oriented socio-political theology (iii) indigenous religio-cultural theology (iv) feminist theology (v) eco-theology of nature. Som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each theological movement are described comprehensively.
At the end of this essay, the urgent tasks of Progressive Theology for today as well as future are suggested to theologians of five groups above mentioned: formation for ecclesiology corresponding to the post-modern world, theological communication to win public support, proposal of a new doctrine of God overcoming that of a supernatural God of orthodox Protestants, and development of a new Christian spirituality from fertile East-Asian spiritual soil.
목차
1. 한국 ‘진보신학’의 호칭문제
2. 한국 진보신학 흐름의 특징
3. 한국 진보신학 운동의 현황
4. 한국 진보신학의 내일의 과제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신학의 정절(貞節)
- 스크랜턴 -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선교 이야기 : 이덕주, 『스크랜턴,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 선교 이야기』(공옥출판사, 2014)
- [편집 후기] “보수”와 “진보”의 평행선을 넘어서
- 한국교회 평신도교육의 오늘과 내일
- 한국에서의 국가와 교회
- 한국 진보신학의 오늘과 내일
- 한국기독교의 정치사 (II): 공산치하의 북한교회 1945년에서 1950년까지
- ‘세월호 이후,’ 도로테 죌레의 『고난』을 다시 읽다 : 도로테 죌레, 채수일·최미영 공역, 『고난』 (한국신학연구소, 1993)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죽산(竹山) 박형룡과 장공(長空) 김재준의 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어제와 오늘
- 한국교회의 예배와 그 미래의 전망
- [특별좌담] 한국 신학계의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의 진솔한 대담
-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유형: 어거스틴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 임락경, 『임락경의 우리 영성가 이야기』 (홍성사, 201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