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urch and State: Centering on Augustine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이양호(Yangho Lee)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2호, 251~28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회 역사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있었다. 첫째로 교회 공동체는 세상 공동체와 다르므로 교회는 세상과 완전히 결별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었다. 초대 교회의 저명한 신학자인 테르툴리아누스는 이런 입장을 대변한다. 종교 개혁기에재세례파도 이런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세상은 악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관리가 되거나 군인으로 봉사하는 것을 금하였다. 둘째로 국가가 교회를 통솔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었다. 동방 교회는 이 입장을 가지고 있었고 실제로 황제가 교회 문제에 개입하였다. 종교 개혁기에 영국 교회도 수장령 하에 국가가 교회를 통솔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에라스투스주의, 갈리아주의, 페브리니우스주의, 요셉주의도 같은 유형에 속한다.셋째로, 교회가 국가를 통솔해야 한다는 신정 정치의 입장이 있었다. 중세의 많은 교황들과 사상가들이 이런 입장을 취하였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대리자인 교황이 세상에 대한 전권을 가지고 있으며, 성직자들을 통해서는 영적인 문제를 다루고 세속 통치자들을 통해서는 세상적인 문제를 다룬다고 보았다. 넷째로, 루터는 교회와 국가는 상호 보완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교회는 복음과 사랑으로 사람을 변화시키고 국가는 법과 칼로 악을 제어해야 한다. 루터는 이 두 사역을 하나님의 오른손과 왼손의 관계로 보았다.다섯째로, 아우구스티누스와 칼빈은 국가에 대한 교회의 정신적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성직자가 세속 문제까지 다스리는 신정 정치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교회는 정신적으로 국가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we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First, some Christians insist that the Church mus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because the world is evil. According to them, the Christians must not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and military service. Second, some Christians and some states insist that the state must dominate the Church. For instance, there were Caesaropapism, Erastianism, Febronianism, Josephinism in the history of the Christianity. Third, some popes and some Christians argue that the Church must dominate the state. According to them, just as the moon derives its light from the sun and is indeed lower than it in quantity and quality, and in position and in power, so too the royal power derives the splendor of its dignity from the pontifical authority. Fourth, Martin Luther,the Reformer, insists that there are two kingdoms in the world, that is to say, the spiritual kingdom and worldly kingdom. According to Luther, the Church serves the world by Gospel and love while the state rules the country by law and sword. Finally, Augustine and John Calvin reject both the Caesaropapism and theocracy. They argue that the Church must influence the state by its teachings. Especially, Calvin wants the Church to influence the state through the good Christian politicians.
목차
I. 서론
II. 교회와 국가의 분리 유형
III. 국가의 교회 지배 유형
IV. 신정정치 유형
V. 교회와 국가의 상호보완 유형
VI. 국가에 대한 교회의 정신적 영향 유형
VII.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신학의 정절(貞節)
- 스크랜턴 -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선교 이야기 : 이덕주, 『스크랜턴,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 선교 이야기』(공옥출판사, 2014)
- [편집 후기] “보수”와 “진보”의 평행선을 넘어서
- 한국교회 평신도교육의 오늘과 내일
- 한국에서의 국가와 교회
- 한국 진보신학의 오늘과 내일
- 한국기독교의 정치사 (II): 공산치하의 북한교회 1945년에서 1950년까지
- ‘세월호 이후,’ 도로테 죌레의 『고난』을 다시 읽다 : 도로테 죌레, 채수일·최미영 공역, 『고난』 (한국신학연구소, 1993)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죽산(竹山) 박형룡과 장공(長空) 김재준의 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어제와 오늘
- 한국교회의 예배와 그 미래의 전망
- [특별좌담] 한국 신학계의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의 진솔한 대담
-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유형: 어거스틴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 임락경, 『임락경의 우리 영성가 이야기』 (홍성사, 201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