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the Controversy between Park Hyungryong and Kim Jaejoon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김영한(Yunghan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2호, 73~10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20년대 당시 프린스턴신학교에서의 보수파와 진보파 사이의 신학논쟁이 10년 후인 1930년대 한국교회에서 부분적이긴 하나 재현되었다. 1930년대 한국장로교 안에 일어난 신학 논쟁이란 정통주의 신학자 박형룡이 김재준의 신정통주의 신학을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비판한 데서 야기되었다. 초창기 한국신학형성기의 신학논쟁을 오늘의 관점에서 보면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사이의 구분이 명확히 되지 못하고 혼동되었다. 죽산은 북장로교 선교사들을 통하여 한국장로교와 평양신학에 뿌리 내린 정통주의를 지키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했다. 장공은 “신앙 양심의 자유로운 신학”의 입장에서 학문의 자유로운 연구와 성경적 복음적 신앙을 조화시켜나가는 온건한 신정통주의 신학의 입장을 추구하였다. 장공이 죽산의 비판을 받게 된 데는 단지 죽산의 근본주의적 성경관과 전투적 복음주의 사고에만 기인하는 것으로만 볼 수 없고 장공의 정통신학과 선교사들에 대한 혐오증과 강한 비판에도 기인한다. 김재준이 정통주의를 거부한 것은 기독교 근본진리의 부정이 아니라 통조림 같이 폐쇄된 보수주의적 사고방식에 대한 거부였다. 장공은 자유주의 신학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정통주의적 폐쇄주의에서 벗어나 개방적인 입장과 양심의 자유를 존중하는 태도에서 기독교 진리를 추구하고자 했다. 죽산은 후기에 들어 분리적이고 폐쇄적인 신근본주의로 나아갔다. 죽산과 장공의 공통점은 복음적 신앙이다. 차이는 죽산의 정통신앙 존중과 장공의 학문의 자유 존중에 있다. 양자의 차이는 오늘날에는 보다 넓은 복음적 신앙 안에서 극복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theological controversy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in the Princeton Seminary in the 1920s repeated in the Korean church, though partly, in the 1930s. This controversy occurred due to the incidents that Park Hyungryong accused Kim Jaejoon’s neoorthodoxism of liberal theology. According to the recent view of this incident, the distinction between liberals and neo-orthodoxy was not clear and confused. However, Park thought it was his mission to keep the orthodoxy, which had been planted by missionaries in the Korean church. On the other hand, Kim sought the neo-orthodoxy harmonizing the freedom of research with Biblical faith in terms of open theology based on the conscience of faith. Park’s criticism on Kim was not only due to Park’s fundamentalist view of Bible and combat evangelicalism, but also due to Kim’s hostile attitude and criticism on missionaries and orthodox practices. Kim’s refusal of the orthodoxy was not the rejection of Christian basic truth, but of the “canned, closed” mentality of conservatism. He intended to seek the Christian truth with the attitude of respecting the freedom of conscience and that of surpassing the orthodox closedness. Park fell into the separated and closed neo-fundamentalism in the later period. What Park and Kim have in common is the evangelical fa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Park respects the orthodox faith while Kim the academic freedom. Such a difference is believed to be overcome today in the spectrum of the broad evangelical faith.
목차
머리말
I. 초창기 한국신학과 1920년대 미국신학 논쟁의 영향
II. 김재준 신학에 대한 보수진영의 비판
III. 김재준의 정통신학과 선교사들 혐오증
IV. 김재준의 “신학의 자유사상”이 자유주의 신학으로 왜곡
V. 장공 신학의 복음주의적 요소: 신정통주의적 성격
VI. 진보주의의 세력 형성과 조선신학교 설립
VII. 죽산의 근본주의적 성경관과 전투적 복음주의
VIII. 복음주의 신앙의 바른 이해
맺음말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신학의 정절(貞節)
- 스크랜턴 -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선교 이야기 : 이덕주, 『스크랜턴, 어머니와 아들의 조선 선교 이야기』(공옥출판사, 2014)
- [편집 후기] “보수”와 “진보”의 평행선을 넘어서
- 한국교회 평신도교육의 오늘과 내일
- 한국에서의 국가와 교회
- 한국 진보신학의 오늘과 내일
- 한국기독교의 정치사 (II): 공산치하의 북한교회 1945년에서 1950년까지
- ‘세월호 이후,’ 도로테 죌레의 『고난』을 다시 읽다 : 도로테 죌레, 채수일·최미영 공역, 『고난』 (한국신학연구소, 1993)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죽산(竹山) 박형룡과 장공(長空) 김재준의 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어제와 오늘
- 한국교회의 예배와 그 미래의 전망
- [특별좌담] 한국 신학계의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의 진솔한 대담
-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유형: 어거스틴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 임락경, 『임락경의 우리 영성가 이야기』 (홍성사, 201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