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Impact of Income Inequality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by External Transactions Using Simultaneity in Panel Dat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최봉호(Bongho Choi)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7권 제2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 무역 개방을 매개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소득불평등이 인적자본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득불평등은 선진국에서 인적자본 축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 및 단기 모두에서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무역 개방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인적자본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선진국에서는 인적자본 축적이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오히려 소득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 개방은 선진국에서 소득불평등을 확대시키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비숙련 노동자에 대한 소득 재분배를 통해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역 개방 하에서 인적자본 축적과 소득불평등 간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그 영향의 정도는 국가의 선진국과 개도국과 같은 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income inequality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rade opennes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come inequality negatively affects human capital accumulation in developed countries. However, in developing countries, income ine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Similar results were derived in both the long term and the short term.Trade openness has a positive impact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Meanwhile, in developed countries, human capital accumulation was found to reduce income inequality, whereas in developing countries, human capital accumulation exacerbated income inequality. Trade openness increased income inequality in developed countries, but it mitigated income in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income redistribution on unskilled wo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 trade openness,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income inequalit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extent of their impact depends on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odel Specification and Methodology
Ⅳ. Data Analysis
Ⅴ. Empirical Results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상정보연구 제27권 제2호 목차
- 팬데믹 이후 디지털 플랫폼 해외직구 소비자의 지속가능 소비 행동 연구
- 한국의 무역성과에 대한 물류효율성의 영향: APEC 국가의 물류성과지수를 중심으로
- 첨단산업의 무역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미국을 중심으로
- 중국 수출 제조업체의 지속가능 공급업체 관리가 ESG 대응역량과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come Inequality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by External Transactions Using Simultaneity in Panel Data
- 제조업 및 건설업의 성장률이 무역 성장률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GARCH-X 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
- 디지털 통화와 글로벌 통화 패권: 한국의 전략적 포지셔닝
- 신제품의 시간 효용성과 성공에 대한 국제화의 영향에서 정보통합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n Evalu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Supply Chain Information flow Efficiency
- 글로벌 식품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통상정보연구 제27권 제2호 목차
- 팬데믹 이후 디지털 플랫폼 해외직구 소비자의 지속가능 소비 행동 연구
- 한국의 무역성과에 대한 물류효율성의 영향: APEC 국가의 물류성과지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