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수출 제조업체의 지속가능 공급업체 관리가 ESG 대응역량과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Sustainable Supplier Management on ESG Compliance Capability and Export Competitiveness in Chinese Export-Oriented Manufacturing Firms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김창봉(Chang-Bong Kim) 유신동(Xin-Tong Liu)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7권 제2호, 47~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글로벌 시장 ESG 규범 강화가 가속화되면서, 중국 수출 제조업체은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와 수출 경쟁력 확보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적역량이론과 TBL 이론 기반하여, 지속가능한 공급업체 선정 및 협력 활동이 기업의 ESG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 수출경쟁력을 제고하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25년 2월 20일부터 4월 21일까지 중국 광동성에 위치한 228개 중국 수출 제조업체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부분 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델(PLS-SE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공급업체 선정은 공급업체 협업, ESG 대응역량, 수출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급업체 협업은 ESG 대응역량과 수출성과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ESG 대응역량은 지속가능한 공급망 활동이 수출 경쟁우위로 전환되는 데 있어 핵심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태적 역량 이론과 TBL 프레임워크의 융합적 적용을 통해, 공급망의 지속가능 경영이 어떻게 기업 역량과 외부성과로 연결되는지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실무적으로는 중국 수출 제조업체의 ESG 기반 전략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As global ESG standards continue to intensify, export-oriented manufacturing firms are increasingly facing the dual challenge of managing sustainable supply chains and enhancing export competitiveness. Grounded in Dynamic Capabilities Theory and the Triple Bottom Line (TBL) framework,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sustainable supplier selection and collaboration strengthen firms’ ESG compliance capabilities and, in turn, enhance their export competitivenes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28 export manufacturing firms located in Guangdong Province, China, between February 20 and April 21, 2025, the study employs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for empirical validation.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stainable supplier selection significantly enhances supplier collaboration, ESG compliance capability, and export competitiveness. Second, supplier collaboration positively affects ESG capability and export performance. Third, ESG capability plays a key mediating role in linking sustainable supply chain practices to export advantage. By integrating dynamic capabilities theory with the TBL framework,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how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drives both internal capacity and external outcomes. The findings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export manufacturers developing ESG-oriented supply chain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및 가설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상정보연구 제27권 제2호 목차
- 팬데믹 이후 디지털 플랫폼 해외직구 소비자의 지속가능 소비 행동 연구
- 한국의 무역성과에 대한 물류효율성의 영향: APEC 국가의 물류성과지수를 중심으로
- 첨단산업의 무역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미국을 중심으로
- 중국 수출 제조업체의 지속가능 공급업체 관리가 ESG 대응역량과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come Inequality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by External Transactions Using Simultaneity in Panel Data
- 제조업 및 건설업의 성장률이 무역 성장률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GARCH-X 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
- 디지털 통화와 글로벌 통화 패권: 한국의 전략적 포지셔닝
- 신제품의 시간 효용성과 성공에 대한 국제화의 영향에서 정보통합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n Evalu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Supply Chain Information flow Efficiency
- 글로벌 식품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통상정보연구 제27권 제2호 목차
- 팬데믹 이후 디지털 플랫폼 해외직구 소비자의 지속가능 소비 행동 연구
- 한국의 무역성과에 대한 물류효율성의 영향: APEC 국가의 물류성과지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