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숙박업의 디지털 서비스가 지각된 용이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 of Digital Services in Hospitality Industry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방문화학회
- 저자명
- 강정구(Jungkoo Kang) 이제억(Jaeouk Lee) 박경표(Kyungpyo Park)
- 간행물 정보
- 『 교방문화연구』5권 2호, 133~1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숙박업의 디지털 서비스는 디지털 기술·디바이스의 발달과COVID-19에서 엔데믹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언택트 서비스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매년 증가하는 숙박업 서비스 경쟁, 고정고객 확보, 인건비율 및 인력채용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요한 변수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숙박업의 디지털 서비스, 지각된 용이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숙박업에 도입된 디지털 서비스(키오스크, 스마트 체크인·아웃, AI챗봇, 로봇, 태블릿 오더)가 이용객의 지각된 용이성에, 이용객의 지각된 용이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숙박업의디지털 서비스 요인(신뢰성, 정보·편리성, 흥미성, 의인화, 개인화), 지각된 용이성, 행동의도의 측정변수를 도출하고 각각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숙박업의 디지털 서비스가 지각된 용이성에, 지각된 용이성이 행동의도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숙박업계의 디지털 전환이 고객 경험과 행동의도에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숙박업의 디지털 서비스 적용에 있어효과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숙박시설이 디지털서비스 도입 시 고객의 디지털 역량을 고려하여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고객 맞춤형 디지털 서비스의 개발과 도입이 숙박업계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digital services(kiosks, smart check- in·check-out, AI chatbots, robots, tablet orders) introduced in accommodation facilities on guests’ perceive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devices and the transition from COVID-19 to an endemic phas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ttributes of hospitality industry digital services(reliability, informational convenience, entertainment, anthropomorphism, and personaliza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measurement variabl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confirm that digital amenities in hospitality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ive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reflects the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guests’ digital competencies, such as their perceptions of digital adoption and usage ab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슈&진단
- ㈜데이터솔류션
- 호텔경영학연구
-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경영교육연구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벤트컨벤션연구
-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나래출판사
- 금오공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호텔리조트연구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국경영과학회지
-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In J. Kuhl & J. Beck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 Decision Support Systems
- Tourism Management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 MIS Quarterly
- Management Sci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ngement
- Economic Sciences
- Journal of Marketing
-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 Management Science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