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얀마인 학부 유학생의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cademic Speaking Self-Efficacy of Myanmar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황선영(Sunyoung Hwa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2호, 245~2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말하기 효능감 검사를 통하여 학부 유학생이 학술적 말하기에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급증한 미얀마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일상생활에서의 효능감’과 ‘대학에서의 학술적 효능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학생들은 ‘일상적인 말하기 효능감’에 비하여 ‘대학에서의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대학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전략, 토론, 전공 영역에 대한 내용’에서의 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전공 어휘와 관련된 효능감이 낮게 나타났다. 말하기 불안 영역과 언어 지식 영역(음운, 격식성)에서는 일상생활과 대학 생활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해당 영역의 평균값이 낮아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대학에서의 학술적말하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본 결과, ‘한국어 숙달도, 한국거주 기간, 한국어 학습 기간, 자국에서의 대학 경험’이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지만, 영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한된 학생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학술적 한국어 말하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학술적 한국어 효능감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한국어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필요한 교육 내용을 찾아보았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2, 245-274. This study examines how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perceive academic speaking, focusing specifically on Myanmar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compares “everyday speaking efficacy” with “academic speaking efficacy at university,” revealing significantly lower efficacy in the latter. Notably, students faced challenges with academic communication strategies,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and using subject-specific vocabulary.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inguistic knowledge between the two speaking contexts, overall scores were low, highlighting the need for targeted educational support. Factors such a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ngth of residence, duration of language learning, and prior university experience influenced academic speaking efficacy, although their impact was limited. Despite the small sample size, this study offers a foundational tool for assessing academic Korean speaking self-efficacy and identifies key areas for enhancing academic language education.(Ajou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선영(Sunyoung Hwang). (2025).미얀마인 학부 유학생의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22 (2), 245-274

MLA

황선영(Sunyoung Hwang). "미얀마인 학부 유학생의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22.2(2025): 245-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