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라마 도입 국면의 멀티모달 담화분석 연구 - 체계기능언어학에 기반하여
이용수 0
- 영문명
- A 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Research of the Introductory Phase Of Drama :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한정한(Jeonghan Han) 윤혜경(Hyegyeong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2호, 191~243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9,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도입 국면의 장면들을 체계기능언어학의 멀티모달 담화분석(SFL-MDA)을 이용해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드라마 제작자가, 시청자들에게, 영상을 통해서 얼마나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간모드적 담화의미를 전달할 수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다. 본고에서 분석한 각 모드별 담화의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기능 의미는 종결어미 형태가 아니라, 실제 발화효과를 중심으로 17개종류를 조사하였다. 둘째, 평가어 의미는 태도평가, 개입평가, 강도평가의 어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셋째, 소절(small clause)은 문장의 성분과 통사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독립 억양으로 쓰여서, 문장 주위를위성처럼 떠도는 담화표지들이다. 이런 소절의 의미는 다른 모드들의 의미에 종속적으로 관여하였다. 넷째, 운율 의미는 억양의 화용적 정보에의해 파악되었으며, 평가어 의미와 중첩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감정선이더 풍부하고, 개성적이었다. 다섯째, 영상 의미는 구성적 의미, 상호작용적 의미, 재현적 의미의 3가지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영상 의미와 다른모드와 사이의 의미적 지위는 Salway & Martinec(2005)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2, 191-2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oductory phrases of Netflix drama using 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MDA). The discourse meaning of each mode analyz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17 types of speech functions were examined, focusing on actual utterance effects rather than sentence ending forms. Second, the Appraisal meaning was analyzed based on Attitude, Engagement, and Graduation. Third, the Small clauses are discourse markers that are not syntact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of the sentence, and either have independent intonation, or float around the sentence. Here, their meanings were like satellite to the meaning of the other modes. Fourth, prosody meaning was captured by the discourse of intonation, which often overlapped with Appraisal meaning but was much richer in emotional lines. Fifth, visual meaning was analyzed in three ways: compositional meaning, interpersonal meaning, and representational meaning. The semantic status of visual meaning with other modes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Salway & Martinec (2005).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정리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 중국인 청소년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연구 - 중국 현지 중등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교환학생 준비 프로그램을 위한 해외 대학 한국학 전공생 요구분석 연구 - 프랑스 Inalco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 학습 환경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지식 비교 연구 - 교수 방식과 학습 전략 사용의 역할을 중심으로
- 드라마 도입 국면의 멀티모달 담화분석 연구 - 체계기능언어학에 기반하여
- 미얀마인 학부 유학생의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