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청소년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연구 - 중국 현지 중등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Adolescent Learners : Focusing on Loc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in Chin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빙청(Bingqing L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2호, 93~13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중등 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 기관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중등 직업학교와 일반 중학교의 한국어 교육 목표가 상이하며, 학생들의 학습 상황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교재가 중국인 청소년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지 않으며, 특정 기능 교육이 부족하고, 한국어 능력 평가 시스템이 미비하며, 학문 목적의한국어 수요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보급이 부족하고,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이 미흡하며, 원어민 교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아울러,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절실히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2, 93-132.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these institutions, and suggests relevant improvements. It reveals that the positioning of Korean-language education differs between vocational schools and general secondary schools, and varies the students’ learning situations. A survey of Korean-language teachers identifies several issues: Korean-language textbooks do not meet Chinese adolescent learners’ needs, individual skill instruction is insufficient, a Korean-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system is lacking, the demand for academic Korean has not been met, the promotion of Korea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is inadequate, teacher certification is incomplete, and there is a shortage of native-speaking teachers. Additional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raining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Korean-language teach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중국 현지 중등 교육기관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의견 조사
4. 중국인 청소년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 중국인 청소년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연구 - 중국 현지 중등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교환학생 준비 프로그램을 위한 해외 대학 한국학 전공생 요구분석 연구 - 프랑스 Inalco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 학습 환경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지식 비교 연구 - 교수 방식과 학습 전략 사용의 역할을 중심으로
- 드라마 도입 국면의 멀티모달 담화분석 연구 - 체계기능언어학에 기반하여
- 미얀마인 학부 유학생의 학술적 말하기 효능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