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정 생명 사상의 기초가 되는 과정사상의 신개념 연구 - John B. Cobb Jr.의 신개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Process Theism Based on Process Life Thought : Focusing on the Notion of God by John B. Cobb Jr.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오진철(Jin-Cheol Oh)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09집(2025년 여름호), 163~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존 캅의 신개념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유기체적 관계의 존재 근거가 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의 형이상학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데 있다. 이것은 전통적 신개념에 주로 나타나는 인간과 자연 사이의 지배-피지배의 분절된 세계관을 극복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고, 동시에 무신론에 바탕을 둔 환경 운동가들의 실천에 견고한 형이상학적 기초를 제안하는 것이다. 캅의 학문적 자리는 전통적 유신론의 비합리성에 대한 비판과 무신론적 세속적 세계관의 거부 양자 사이에 정초한다. 캅에 따르면 자연의 모든 생성, 발전, 소멸의 과정이 신적 영향 아래에 있다. 우주 발생의 근원과 진행 과정에서 현실적 존재의 생성 과정을 일으키는 신의 존재가 필수적으로 상정되어야만 한다. 인간과 자연의 분절된 전통적 신 이해와는 달리, 과정 생명 사상은 세상의 모든 현실적 존재가 직간접적으로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는 상호 연계된 시스템으로 이해한다. 인간은 연계된 시스템 안에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때, 전체 생명 시스템과 미래 세대들, 그리고 신에게 책임적 존재가 된다. 현대 과학과 기술이 보여주고 있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파괴 위기를 신에 대한 호소 없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궁극적 해답을 제공해 줄 수 없다.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담보하는 미래 사회의 궁극적이고 정합적인 희망의 기초는 캅이 조망하고 있는 과정 생명 사상의 신개념으로부터 올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John B. Cobb’s Theism serves as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organic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can be a metaphysical alternative to a sustainable future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overcome the fragmented worldview characterized by the dominant-dominated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hich appears mainly 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God,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a solid metaphysical foundation for the practice of atheism-based environmentalists. Cobb’s academic position is based on both criticism of the irrationality of traditional theism and the rejection of an atheistic secular worldview. Cobb’s theistic naturalism understands that all the process of becoming, developing, and perishing of nature are under divine influence. In the ground and process of the cosmic occurrence, Cobb argues that the existence of God, which causes the becoming process of actual entity, must be assumed. Unlike the traditional theism which perceives man and nature in a segmented way, process thought of life is understood as an interconnected system in which all the individual entities in the world are dependent on each other directly or indirectly. Human beings are part of nature and are interrelated with the rest of nature, and prosper only when our bodies are continuous with the whole living system. When huma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hole, they become responsible to the entire life system, to our descendants, and to God. Without appealing to God, we cannot provide the ultimate answer to adequately respond to the crisis of human destruction of nature that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re showing. The ultimate hope of a future society, which guarantees the symbiosis of humans and nature, can only come from Cobb’s process God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캅의 화이트헤드 신 이해
Ⅲ. 캅의 신개념의 특징
Ⅳ. 캅의 신개념과 과정 생명 사상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탈세속신학의 기독교 정치학에 대한 평가
- 구약에 나타난 고대 이스라엘의 비혈연 입양 사례 연구
- 민중의 자기초월과 민주적 가치의 생성 - 안병무와 한스 요아스의 이론적 대화를 중심으로
- 안병무 신학의 미래와 예수 그리스도의 영
- 풍류신학의 생태-미학적 재구성 - 소금 유동식의 ‘한·멋·삶’에 관한 생태신학적 조명
- 과정 생명 사상의 기초가 되는 과정사상의 신개념 연구 - John B. Cobb Jr.의 신개념을 중심으로
- 불안에 관한 학제간 연구 - 정신의학과 신경과학, 철학, 그리고 신학을 중심으로
- 신경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위선 - 해석 권력 독점과 정서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 실연과 변형의 관점에서 본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투쟁’ 사례 연구
- 한국 여성신학 정립 노력을 보다 - 『여성신학사상』 제1집(1994)부터 제15집(2024)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