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중의 자기초월과 민주적 가치의 생성 - 안병무와 한스 요아스의 이론적 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elf-Transcendence of Minjung and the Genesis of Democratic Values : A Theoretical Dialogue between Byung-Mu Ahn and Hans Joa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정용택(Yong-Taek Jeo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09집(2025년 여름호), 33~6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로 촉발된 한국 민주주의 위기 상황에서 안병무의 ‘자기초월’ 개념을 한스 요아스의 가치 생성 이론과 비교 분석하여 민중신학의 현대적 의의를 탐구한다. 안병무는 민중이 자신의 한계를 넘어 집단적 연대와 역사적 실천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예수사건이 현재화된다고 보았다. 요아스의 자기초월 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민중의 자기초월적 저항이 새로운 민주적 가치를 생성하고 신성화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며, 이것이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강력한 동력이 됨을 논증한다. 이를 통해 민중신학이 현재의 민주주의 위기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과제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Minjung theology by analyzing Byung-Mu Ahn’s concept of ‘self-transcendence’ in comparison with Hans Joas’s theory of value genesi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democratic crisis triggered by the martial law declaration on December 3, 2024. Ahn argued that the Jesus event becomes present when Minjung transcends their limitations and creates new possibilities through collective solidarity and historical practice. Through dialogue with Joas’s theory of self-transcendence, this study elucidates the mechanism by which the self-transcendent resistance of Minjung generates and sacralizes new democratic values, demonstrating that this becomes a powerful force for defending democracy. The paper argues that these self-transcendent experiences serve as the source of new democratic values and norms, while the emotional commitment to these values and the experience of ‘sacredness’ through minjung-events as manifestations of the Jesus event provide the driving force for sustained struggle for democrac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Minjung theology can offer practical tasks for overcoming the current democratic crisis.
목차
Ⅰ. 서론
Ⅱ. 안병무의 자기초월 개념의 분석 및 한국 민주화운동사적 사례 고찰
Ⅲ. 한스 요아스의 가치 생성 이론과 안병무의 민중사건론의 비교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탈세속신학의 기독교 정치학에 대한 평가
- 구약에 나타난 고대 이스라엘의 비혈연 입양 사례 연구
- 민중의 자기초월과 민주적 가치의 생성 - 안병무와 한스 요아스의 이론적 대화를 중심으로
- 안병무 신학의 미래와 예수 그리스도의 영
- 풍류신학의 생태-미학적 재구성 - 소금 유동식의 ‘한·멋·삶’에 관한 생태신학적 조명
- 과정 생명 사상의 기초가 되는 과정사상의 신개념 연구 - John B. Cobb Jr.의 신개념을 중심으로
- 불안에 관한 학제간 연구 - 정신의학과 신경과학, 철학, 그리고 신학을 중심으로
- 신경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위선 - 해석 권력 독점과 정서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 실연과 변형의 관점에서 본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투쟁’ 사례 연구
- 한국 여성신학 정립 노력을 보다 - 『여성신학사상』 제1집(1994)부터 제15집(2024)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