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풍류신학의 생태-미학적 재구성 - 소금 유동식의 ‘한·멋·삶’에 관한 생태신학적 조명
이용수 0
- 영문명
- Ecological-Aesthetic Reconstruction of Pungryu Theology : Ecotheological Illumination on Tongsik Ryu’s ‘한(Han)·멋(Mot)·삶(Salm)’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안규식(Kyu-Sik Ahn)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09집(2025년 여름호), 131~16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인류세의 생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소금 유동식(素琴 柳東植, 1922-2022)의 풍류신학을 생태-미학적 신학으로 재구성한다. 인간중심적 사고와 자연 착취로 초래된 기후 위기의 시대를 의미하는 인류세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를 재정립할 신학적 방법론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신-자연-인간의 상호 내재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풍류신학의 생태적 존재론과 미학적 요소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풍류신학의 핵심 개념인 ‘한 · 멋 · 삶’을 생태신학적으로 재조명하여 생태적 전환을 위한 생태-미학적 풍류신학의 존재론적이고 미학적인 근거를 마련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은 존재자들의 대립과 차이를 상호 내재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로 승화시키는 포월성의 존재론으로, ‘멋’은 존재자들 사이의 ‘접’하는 만남과 신비적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아름다움과 감각을 설명하는 미학으로, ‘삶’은 생태적 해방과 공존을 가져오는 자기 부정의 수행으로 제시된다. 본 논문은 풍류신학을 생태-미학적 신학으로 재구성하여 생태적 위기 시대에 대응할 한국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성을 시도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nstructs Tongsik Ryu’s(1922-2022) Pungryu Theology as an eco-aesthetic theology to respond to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marked by the era of climate crisis caused by anthropocentric thinking and the exploitation of nature, calls for a theological methodology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Thus, this paper explores the ecological ontology and aesthetic elements of Pungryu Theology, which emphasizes the interpenetrating and organic relationships among God, nature, and humanity, transcending anthropocentrism. By re-examining the ecological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key concepts of Pungryu Theology—‘한(Han) · 멋(Mot) · 삶(Salm)’—this study establishes the ontological and aesthetic grounds of an eco-aesthetic Pungryu Theology for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Through this research, ‘한’ is presented as an ontology of transcendence that sublimates conflicts and differences among beings into interpenetrating and organic relationships, ‘멋’ as an aesthetics that explains beauty and sensations formed through encounters and mystical experiences between beings, and ‘삶’ as the practice of self-negation that brings about ecological liberation and coexistence.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ct Pungryu Theology as an eco-aesthetic theology, proposing a new paradigm for Korean theology to respond to the ecological crisis era.
목차
Ⅰ. 서론
Ⅱ. 인류세의 도전과 풍류신학의 응답 ― 풍류신학의 생태-미학적 전환
Ⅲ. 풍류신학의 포월적 존재론
Ⅳ. ‘멋’과 ‘접’의 생태-미학적 풍류신학
Ⅴ. 결론 ― 자기 부정을 통한 생태 해방의 수행적 ‘삶’을 향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탈세속신학의 기독교 정치학에 대한 평가
- 구약에 나타난 고대 이스라엘의 비혈연 입양 사례 연구
- 민중의 자기초월과 민주적 가치의 생성 - 안병무와 한스 요아스의 이론적 대화를 중심으로
- 안병무 신학의 미래와 예수 그리스도의 영
- 풍류신학의 생태-미학적 재구성 - 소금 유동식의 ‘한·멋·삶’에 관한 생태신학적 조명
- 과정 생명 사상의 기초가 되는 과정사상의 신개념 연구 - John B. Cobb Jr.의 신개념을 중심으로
- 불안에 관한 학제간 연구 - 정신의학과 신경과학, 철학, 그리고 신학을 중심으로
- 신경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위선 - 해석 권력 독점과 정서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 실연과 변형의 관점에서 본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투쟁’ 사례 연구
- 한국 여성신학 정립 노력을 보다 - 『여성신학사상』 제1집(1994)부터 제15집(2024)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