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Gyobang and Japanese Geisha Cultures - Historical Contexts, Artistic Contributions, and Cultural Legacy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Kyongae Yu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6호, 337~36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교방 기생 문화와 일본의 게이샤 문화를 다각적으로 비교분석한다. 두 문화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과정, 예술인으로서의 수련 체계, 각 사회에서의 위상과 역할, 전통 예술의 계승과 창의성, 그리고 현대까지 이어지는 문화적 의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표면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교방과 게이샤 문화는 자국의 사회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독특한 발전 경로를 보였다. 본 연구는 여성 예능인 문화로서 공유하는 공통 요소뿐만 아니라 두 전통 사이의 차이점을 규명한다. 또한 식민지 시기와 근대화 과정에서 교방 기생과 게이샤 문화가 경험한 변화와, 전통 예술 보존 및 자국의 현대 예술에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 교방 기생과 일본 게이샤의 예술적·문화적 유산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이해를 제공하고, 한국과 일본의 전통 예술의 현대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Korean Gyobang culture and Japanese Geisha traditions, focusing on their historical development, training methods, societal roles, artistic contributions and cultural legacies. Despite superficial similarities, these traditions evolved distinctively within their respective national contexts. The study highligh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female entertainment cultures. It analyzes how both traditions adapted during periods of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contributing to traditional arts preservation and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rough this comparative lens, the research provides balanced insights into the artistic legacies of Korean Gisaeng and Japanese Geisha, illuminating their significance in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s.
목차
1. Introduction
2. Historical Contexts of Gyobang and Geisha Cultures
3. Artistic Contributions of Gyobang and Geisha Cultures
4. Cultural Legacy and Modernity of Korean Gisaeng and Japanese Geisha
5. Concluding Remark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신묘년조 연구
- 역사와 융합 제26호 목차
- 파청(派淸) 프랑스 예수회 소속 신부 레지 (Régis)의 「조선약사」 중 고조선 관련 기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통교육창가집』(1910)에 나타난 일본 창가집 과 독본 교과서의 수용과 변용 연구
- 미용실 인테리어의 기대수준과 이미지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7편
- 북제(北齊)를 건국한 발해고씨와 고구려의 관계
- 일송 김동삼의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역할과 활동
- 遼陽 燕州城의 명칭과 기능에 대한 검토 - 문헌기록상 백암성과 요양 연주성의 비교
- 『열하일기』 독법 - 연암, 안의, 면천의 시공간적 의미 탐색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Gyobang and Japanese Geisha Cultures - Historical Contexts, Artistic Contributions, and Cultural Legacy
- 음양사상의 호환 체계 구축과 공생공존의 해석
- 통맥풍수의 원리와 한계성 비판
- 일본 81수 작명법, 구마사키 겐오(熊﨑健翁)의 『성명의 신비(姓名の神祕)』 비판적 고찰
- 호텔업의 디지털 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