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遼陽 燕州城의 명칭과 기능에 대한 검토 - 문헌기록상 백암성과 요양 연주성의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Reevaluating the Name and Function of Yanzhou Fortress in Liaoyang: A Comparison with Baekamseong in Historical Sources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송옥진(Okjin Song)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6호, 111~1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요녕성 요양시 동쪽 석성산에 위치한 연주성(燕州城)은 고구려 산성으로 성벽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회백색 석회암으로 축조된 외형으로 인해 백암성(白巖城)으로 비정되었다. 백암성은 『삼국사기』, 『자치통감』, 『구당서』 등 문헌에 대규모 전투가 벌어진 군사 요충지로 기록되어 있으며 바닷가와 가까운지리적 위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반면, 요양 석성산에 있는 연주성은 내륙 깊숙이 위치하고 성의 구조나 입지, 유물 출토 양상 등에서 문헌 속 백암성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비정의 오류는 일제 반도사관의 영향과 중국의동북공정 및 국내 식민사학계의 안일한 연구결과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과 고고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연주성이 백암성이 될 수없는 이유를 밝히고 현 요양시 석성자산에 위치한 고구려성의 대안적 기능으로서 제의시설 혹은 천문관측의 장소로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Yanzhou Fortress (燕州城), located atop Seongseongsan Mountain to the east of Liaoyang City in Liaoning Province, is a well-preserved Goguryeo-era mountain fortress constructed with light gray limestone. Owing to its appearance, it has been conventionally identified as Baekamseong (白巖城). However,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Samguk Sagi, Zizhi Tongjian, and Old Book of Tang describe Baekamseong as a strategic military stronghold where large-scale battles occurred, emphasizing its coastal location. In contrast, Yanzhou Fortress lies deep inland, and its structural features, geographical context, and archaeological findings sharply diverge from the descriptions found in these texts. This misidentification stems from the lingering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ical framework, the Chinese Northeast Project, and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these perspectives by segments of Korean academia.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literary and archaeological evidence to argue that Yanzhou Fortress cannot be equated with Baekamseong. Instead, it proposes that the fortress, situated on present-day Seongseongsan in Liaoyang, may have served a distinct function—as a ritual site or astronomical observatory within the cultural and religious practices of the Goguryeo state.
목차
1. 머리말
2. 백암성에 대한 문헌기록
3. 요양 연주성의 위치와 기능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신묘년조 연구
- 역사와 융합 제26호 목차
- 파청(派淸) 프랑스 예수회 소속 신부 레지 (Régis)의 「조선약사」 중 고조선 관련 기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통교육창가집』(1910)에 나타난 일본 창가집 과 독본 교과서의 수용과 변용 연구
- 미용실 인테리어의 기대수준과 이미지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7편
- 북제(北齊)를 건국한 발해고씨와 고구려의 관계
- 일송 김동삼의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역할과 활동
- 遼陽 燕州城의 명칭과 기능에 대한 검토 - 문헌기록상 백암성과 요양 연주성의 비교
- 『열하일기』 독법 - 연암, 안의, 면천의 시공간적 의미 탐색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Gyobang and Japanese Geisha Cultures - Historical Contexts, Artistic Contributions, and Cultural Legacy
- 음양사상의 호환 체계 구축과 공생공존의 해석
- 통맥풍수의 원리와 한계성 비판
- 일본 81수 작명법, 구마사키 겐오(熊﨑健翁)의 『성명의 신비(姓名の神祕)』 비판적 고찰
- 호텔업의 디지털 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