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양사상의 호환 체계 구축과 공생공존의 해석
이용수 0
- 영문명
- Construction of a Compatibility System in Yin-Yang Thought and Interpretation of Symbiosis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이옥화(Ockhwa Lee)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6호, 299~33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양사상의 호환 체계 구축은 문자 개념의 부호와 기호인 음양·오행·간지이고, 형성된 기원에 대하여 일반적인 견해들이 공생공존을 이루는 중요한 관념이지만, 그 핵심은 첫째, 생성설, 둘째, 변화설, 셋째, 발전설에 해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순서와 그 개념을 통해 이런 견해들을재해석하기 위해 검토하였고, 서로 변환점을 공생공존의 해석으로 밝혀보았다. 특히 화합과 분리의 용어 해석에 공통점과 차이점에서 밝혀진 작용을 살펴보고, 순화작용과 조율작용에서 통일점은 조화와 균형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그 내용에 일관성은 만물의 근원이 공생공존으로 볼 때, 정오행의 기반은 홍범오행에서 기원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establishment of a compatibility system in yin-yang thought is an important idea of symbiotic coexistence of general views on the origin formed in the signs and symbols of the concept of letters, yin-yang, five elements, and Ganji, but its core purpose was to present interpretations in the theory of generation, second, theory of change, and third, theory of development.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se views to reinterpret them through order and their concepts, and revealed the transformation poin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symbiotic coexistence. In particular, it looked at the actions revealed in common and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s of harmony and separation, and reminded that the common point in purification and coordination is harmony and balance. Consistency in its content confirmed that the basis of the noonday line originated from the Hongbeom Five Elements, when the source of all things was considered a symbiotic coexistence.
목차
1. 머리말
2. 고전에 보이는 호환 체계 구축의 순서와 그 개념
3. 호환 체계 구축에 대한 공생공존적 해석
4. 의의 및 특징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신묘년조 연구
- 역사와 융합 제26호 목차
- 파청(派淸) 프랑스 예수회 소속 신부 레지 (Régis)의 「조선약사」 중 고조선 관련 기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통교육창가집』(1910)에 나타난 일본 창가집 과 독본 교과서의 수용과 변용 연구
- 미용실 인테리어의 기대수준과 이미지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7편
- 북제(北齊)를 건국한 발해고씨와 고구려의 관계
- 일송 김동삼의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역할과 활동
- 遼陽 燕州城의 명칭과 기능에 대한 검토 - 문헌기록상 백암성과 요양 연주성의 비교
- 『열하일기』 독법 - 연암, 안의, 면천의 시공간적 의미 탐색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Gyobang and Japanese Geisha Cultures - Historical Contexts, Artistic Contributions, and Cultural Legacy
- 음양사상의 호환 체계 구축과 공생공존의 해석
- 통맥풍수의 원리와 한계성 비판
- 일본 81수 작명법, 구마사키 겐오(熊﨑健翁)의 『성명의 신비(姓名の神祕)』 비판적 고찰
- 호텔업의 디지털 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