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1] 회사의 정치적 표현
이용수 0
- 영문명
- Political Speech of Business Corporations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전상현(Jeon, Sang-Hyeon)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7권 제1호, 27~5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회사의 기본권은 회사 자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구성원들의 기본권실현을 위한 것이다.
회사는 영리를 목적으로 설립된 사단법인으로서 그 구성원들의 경제적 이익 실현을 위해 존재한다. 따라
서 회사의 모든 활동은 궁극적으로 구성원인 주주의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는 활동이며, 회사에게 인정되
는 가장 중요한 기본권은 기업의 자유이다. 회사의 여러 활동 중에는 정치적인 동기에서 또는 정치적인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것들도 있을 수 있지만, 경영상 결정은 기업의 자유에 의해, 상업광고는 상업적 표
현의 자유와 기업의 자유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회사의 정치적 표현행위는 회사가 영리를 목적
으로 설립된 법인으로서 그 구성원들 사이에 정치적 표현에 관한 기본권적 동질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된다.
회사에 대해서도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를 야기한
다. 먼저, 회사의 의사결정구조는 구성원들의 정치적 의사를 형성하는 절차가 될 수 없다. 정치적 의사형
성은 1인(人) 1표(票)와 다수결을 전제로 하는데, 회사의 의사결정구조는 “1주(株) 1표(票)”를 전제로 한
“자본의 다수결”로서 민주주의원리에 정면으로 반한다. 한편 회사의 업무를 집행하는 대표 또는 이사는
회사의 구성원들로부터 경제적 활동에 관한 권한만을 위임받았을 뿐, 정치적 의사표현을 대신할 권한은
위임받은 바 없다. 따라서 구성원으로부터 위임받은 바 없는 정치적 표현행위를 회사의 이름으로 행사하
는 것은 대표권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이다.
한편, 회사의 구성원인 주주에는 외국인도 포함될 수 있고, 정부도 포함될 수 있다. 회사에게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인정하는 것은 외국인 또는 정부가 회사라는 형식을 통해 정치적 공론장에 참여할 권리를
헌법적으로 보장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국민주권원리와 충돌한다. 또한 다수의 회사를 지배하는 지위
에 있는 사람은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그 회사의 숫자만큼 증폭시켜 정치공동체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주권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왜곡시킨다.
영문 초록
A business corporation is established and exists for the economic benefits of its
members(the shareholders who are the members of the corporation). Activities of
the business corporation are aimed to realize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members.
The political speech of a business corporation cannot be protected by
constitutional rights. The reasons are as follow. First,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a business corporation’s political speech contradicts with the principle of democracy.
As a for-profit corporation, business corporation’s decision-making system is not
based on “majority of people” which means “one man, one vote”, but on the “majority
of capital”, which means “one share, one vote.” Furthermore, the directors of a
business corporation have no authority to express political opinion on behalf of
the shareholders because the shareholders did not delegate those power to the
directors. Second,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a business corporation’s political
speech undermines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Shareholders of a business
corporation may include foreigners and state’s owned fund. It means that foreigners
and state power get a chance to take part in the forum of political discourse through
the business corporations’ political speech. In addition, individuals who dominate
a number of business corporations can multiply their political opinion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e corporations they dominat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회사의 정치적 표현
- 기본권보호의무 위반 심사기준으로서 과소보호금지원칙
- [특집2] 호주헌법에서의 표현의 자유
- [특집1] 주식회사와 정치적 표현의 자유 - 기본권 주체성 여부를 중심으로 -
-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헌법적 보장 연구
- 탄핵심판절차에 관한 연구 - 대통령(박근혜) 탄핵사건 탄핵사유와 증거법을 중심으로 -
- [특집2] 독일 기본법상 표현의 자유
- 사적 영역에서 동성애자의 평등권 보장을 둘러싼 헌법적 쟁점 – 차별금지법 제정을 중심으로 -
- 캐나다 헌법에서 사람(Persons)의 해석과 살아있는 나무이론의 기원 - Edwards v. Canada 판례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