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Chinese Generation Z's Korean Street Fashion Brand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Image, Brand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김송남(Song-Nam Jin) 이현석(Hyun-Serk Lee) 이화형(Hwa-Hyung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1호, 191~21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한국 스트리트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중국 진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Z세대를 대상으로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2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 분석을 위해서 Jamovi 2.6.26을 이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통계적 유의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며 다음과 같이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 중 브랜드, 디자인, 가격순으로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A/S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의 선택속성 중 가격, 브랜드, 디자인, A/S 순으로 브랜드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브랜드이미지는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브랜드신뢰는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의 지속가능한 중국 시장 진출에 있어 브랜드와 가격을 중심으로 브랜드이미지를 높이고 브랜드신뢰를 쌓아나가 재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street fashion brands by Chinese Generation Z on brand image, brand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advancement of Korean street fashion brands into China.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on Korean street fashion brands was conducted targeting Chinese Generation Z, and 322 copies were used for the results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2.6.26.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nfluence, an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verified.
First,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street fashion brands by Chinese Generation Z, brand, design, and pr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image, but A/S had no effect. Second, among the attributes of Korean street fashion brands chosen by Chinese Generation Z, price, brand, design, and A/S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trust in that order. Third, brand imag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trust. Fourth, brand image had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Fifth, brand trust had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for Korean street fashion brand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sustainably, fashion brand should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can increase brand image and build brand trust by focusing on brand and price to increase repurchase int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방법
Ⅴ. 분석 결과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간 관계연구
- 공공예술의 장르별 공공미션 및 실천 양상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사례 분석(2020-2023)
-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어린이박물관 성과평가지표 개발 - 수정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