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Online Contents Creator’s Transition into the Music Industry Field : Focused on Creator-based Girl Band ‘QWER’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김기창(Kee Chang Kim) 이정민(Jung Min Lee) 김선영(Sun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1호, 131~17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 산업에서 형성된 문화자본이 음악산업의 장(場)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걸밴드 QWER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QWER은 유튜브, 트위치 등에서 활동하던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결성한 걸밴드이다.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및 장(場) 이론에 기반하여 지시적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문화자본 형성 과정에서는 플랫폼별 알고리즘(유튜브의 장시간 시청유도, 틱톡의 짧은 영상 중심)이 콘텐츠 제작 전략을 결정짓고, 경제적 구조(CPM 기반 수익, 크리에이터 리워드)가 투자 기반을 제공하며, 디지털 노모스(인스타그램의 심미적 완결성, 트위치의 초고속 소통)가 창작자 행동을 규정하는 가운데 하이브리드 아비투스가 형성되었다. 둘째, 문화자본 전환 메커니즘에서는 마젠타의 채팅 응답 경험이 복잡한 베이스라인으로, 쵸단의 멀티태스킹 능력이 드럼 연주 중 관객 소통으로 재맥락화되는 한편, 펜타포트 페스티벌에서 '진정성' 논란과 같은 노모스 충돌이 관찰되었다. 셋째, 장의 상호작용은 온-오프라인 융합 콘서트, 크라우드 소싱 작곡과 같은 혁신을 통해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프로슈머로 진화한 팬들과 하이브리드 계약 모델 등 음악산업의 권력 구조가 재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플랫폼별 특화된 문화자본이 음악산업의 장에서 어떻게 재맥락화되고 재구성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모스의 충돌과 조정, 하이브리드 문화자본의 형성 과정을 규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by which cultural capital formed in the online content creator industry is transferred to the field of the music industry through the case of girl band QWER. QWER is a girl band formed by online content creators who were active on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Twitch. Based on Bourdieu's theories of cultural capital and field, this study conducted a directed content analysi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process of forming platform cultural capital, platform-specific algorithms (YouTube's promotion of longer viewing times, TikTok's focus on short videos) determined content production strategies, while economic structures (CPM-based revenue, creator rewards) provided investment foundations. Digital nomos (Instagram's aesthetic completeness, Twitch's ultra-fast communication) regulated creator behavior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hybrid habitus.
Second, in the cultural capital conversion mechanism, Magenta's chat response experience was recontextualized into complex bass lines, and Chodan's multitasking ability transformed into audience communication during drum performances. Meanwhile, nomos conflicts such as “authenticity” controversies at the Pentaport Festival were observed.
Third, field interaction was manifested through innovations such as online-offline fusion concerts and crowdsourced composition method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power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was reorganized, with fans evolving into prosumers and hybrid contract models emerging.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identify how platform-specific cultural capital is recontextualized and reconstructed in the music industry field, as well as the conflicts and adjustments of nomos that occur in this process,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hybrid cultural capita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분석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간 관계연구
- 공공예술의 장르별 공공미션 및 실천 양상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사례 분석(2020-2023)
-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어린이박물관 성과평가지표 개발 - 수정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