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Creation of Festival Theme Songs and Identity Construction : A Management Analysis of the Anyang Dance Festival - The ‘Starry Anyang Night’ Case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박남예(Nam Yeh Park)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1호, 105~1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양 춤축제의 테마곡 ‘별빛 안양밤’ 을 중심으로, 축제 음악이 지역 브랜드 정체성을 형성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을 경영적ㆍ음악적 관점에서 탐색한다. 축제 음악은 단순한 배경 요소를 넘어 축제의 핵심적 요소로 작용하며, 감성적 유대를 형성하고 참여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별빛 안양밤’의 음악적 요소가 축제의 분위기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에 대해 분석하며, 축제 음악의 구조적 특징과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다.
최근 디지털 플랫폼과 기술의 발전은 축제 음악이 스트리밍 서비스, 소셜미디어, XR(확장현실), AI 기반 음원 추천 시스템과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축제 음악이 단순한 현장 콘텐츠를 넘어, 지역 브랜드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토한다.
또한, ‘별빛 안양밤’의 기획, 제작, 활용 과정을 분석하고, SWOT 분석을 통해 강점과 한계를 도출하여 보다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축제 음악이 지역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경영적ㆍ기술적 접근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관광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way festival music forms regional brand identity and creates economic value from a management and mus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Anyang Dance Festival’s theme song ‘Starry Anyang Night.’ Festival music goes beyond a simple background element and acts as a core element of the festival, forming emotional bonds and increasing particip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way the musical elements of ‘Starry Anyang Night’ convey the atmosphere and message of the festival, and examin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possibilities of festival music.
Recent advances in digital platforms and technology have shown that festival music can expand into content in the context of streaming services, digital media, XR (extended reality), and AI-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s. Accordingly, we examine whether parties can be leveraged as assets to include on-site content with music, and to build and scale local brands.
In addition, the planning, production, and utilization process of ‘Starry Anyang Night’ is analyzed, and strengths and limitations are derived through SWOT analysis to suggest more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In order for festival music to establish itself as local cultural content, a management and technical approach is essential, and it is discussed that thi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ourism and local economic ac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안양춤축제 - ‘별빛 안양밤’ 음악분석
Ⅳ. SWOT 분석을 중심으로 본 안양춤축제 테마곡 ‘별빛 안양밤’ 활용 전략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간 관계연구
- 공공예술의 장르별 공공미션 및 실천 양상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사례 분석(2020-2023)
-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어린이박물관 성과평가지표 개발 - 수정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