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이용수 0
- 영문명
- Is ‘Placeness’ Valid in Alley Commercial A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김미영(Meeyoung Kim) 임하나(Ha Na Im)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1호, 39~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동형동색(同型同色)의 골목상권이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골목상권의 구성 요소가 장소성을 형성하고, 이러한 장소성이 공간력(행동 의도)을 매개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골목상권의 구성 요소를 형태적, 기능적, 행태적 요소로 구분하고, 장소성을 장소 정체성, 장소 애착, 장소 의미로 세분화하였다. 서울 성수동 서울숲 카페거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목상권의 구성 요소 중 행태적 요소는 장소 정체성, 장소 애착, 장소 의미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인 반면, 형태적 요소는 장소 의미 형성에만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장소성 중에는 장소 애착만이 공간력을 형성하는 요인이었다. 셋째, 골목상권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공간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결국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일부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특히 방문자의 경험과 활동, 즉 행태적 요소를 기반으로 형성된 개인적 차원의 장소 애착은 재방문, 추천 등 긍정적 행동 의도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Amid the proliferation of homogeneous alley commercial district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components of alley district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laceness, and whether such placeness mediates spatial power (behavioral intention). To this end, the components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were categorized into morphological, functional, and behavioral elements, and placeness was subdivided into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meaning.
The study analyzed the case of the Seongsu-dong Seoul Forest Café Street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behavioral elem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three aspects of placeness—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meaning—whereas morphological elements on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lace meaning. Second, among the dimensions of placeness, only place attachmen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forming spatial power. Third, the components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patial power. Ultimately, placeness remains partially operative within alley commercial contexts. In particular, individual-level place attachment, which is formed based on visitors’ experiences and activities (i.e., behavioral elements), was found to lead to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turn visits and recommend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모형과 측정변수 설정
Ⅳ. 인과 구조 분석: 골목상권 구성 요소-장소성-공간력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간 관계연구
- 공공예술의 장르별 공공미션 및 실천 양상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사례 분석(2020-2023)
-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어린이박물관 성과평가지표 개발 - 수정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