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Genre and Wage Determinants of TV Production Staff: Focusing on Freelancers and Non-Regular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오현주(Hyun Ju Oh) 정윤경(Yoon Kyung Chung)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1호, 173~1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TT 플랫폼 확산이 방송산업의 구조뿐만 아니라, 제작 인력의 일거리와 임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제작 인력의 제작 참여 결정 요인 및 임금 결정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년 이상의 제작 경력을 지닌 416명의 프리랜서 및 비정규직 제작 스태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성, 연령, 학력, 전공, 경력, 노동 시간의 변인이 참여 장르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드라마 제작 참여를 결정짓는 요인은 성별과 대학의 전공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 결정 요인은 장르, 경력, 주평균노동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작시장이 외적 기준보다는 개인의 숙련도에 따라 가치를 결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성별에 따른 장르별 진입장벽의 존재가 확인됨에 따라, 정책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rise of OTT platforms is reshaping the broadcasting industry, affecting both its structure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production personnel.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production genre participation and wages among production staff. Using survey data from 416 freelance and non-regular production workers with over one year of experience, it analyzes the impact of gender, age, education, major, career, and working hours on these outcomes. The findings highlight that gender and university major significantly influence participation in drama production. Additionally, genre, career experience, and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are key determinants of wages. While the production market appears to prioritize skills over external factors, the existence of gender-based barriers in drama production suggests a need for policy intervention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연구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연구결론 및 함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간 관계연구
- 공공예술의 장르별 공공미션 및 실천 양상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사례 분석(2020-2023)
-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어린이박물관 성과평가지표 개발 - 수정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