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zing the Jangseong-gun Gastronomic Ecosystem through Elements of the Place Marketing Mix(OIPTCR)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최미경(Mikyung Choi) 이무용(Muyong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1호, 63~10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식 생태계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전남 장성군의 미식 생태계 사례를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로 분석하여 향후 미식 도시 및 음식문화 브랜드 육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식 생태계는 식재료 생산, 소비 등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ㆍ경제ㆍ환경적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며 형성되는 시스템으로 순환, 보장, 가치, 지역 체계로 구성할 수 있다. 장성군의 미식 생태계 사례를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로 분석한 결과 미식 관련 통합 조직 및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가 없고, 미식 상품 개발이 실제 사업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단계별 고객 타깃 전략과 생산에서 폐기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케팅 채널이 필요하며 단순한 공동 홍보가 아닌 기술 교류 등 실질적 지역 협력을 필요로 한다. 장성군은 푸드 플랜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나 미식 관광 등과 연계한 통합적 관점이 부족하며 OIPTCR 믹스 전략의 활용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푸드 플랜, 미식 관광, 식품 위생 등을 포괄하는 장성군의 미식 생태계를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로 분석하여 장성군의 미식 생태계 활성화 및 미식 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a gastronomic ecosystem, analyze the case of Jangseong-gun, Jeollanam-do's gastronomic ecosystem as a place marketing mix factor(OIPTCR), and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gastronomic cities and food culture brands. A gastronomic ecosystem is a system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occur in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can be organized into circulation, guarantee, value, and regional systems. Analyzing the case of Jangseong-gun's gastronomic ecosystem, we found that there is no integrated organization(O) and consistent brand image(I) related to gastronomy, and the development of gastronomic products(P) has not led to actual business results. It requires a step-by-step customer targeting(T) strategy, marketing channels(C)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from production to disposal, and real regional(R) cooperation such as technology exchange, not just joint promotion. Jangseong-gun is performing well in food planning, but it lacks an integrated view of gastronomic tourism and needs to utilize OIPTCR. This study analyzed the gastronomic ecosystem of Jangseong-gun, which includes food planning, gastronomic tourism, and food hygiene, as a place marketing mix, and drew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Jangseong-gun's gastronomic ecosystem and leapfrogging into a gastronomic c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범위와 분석틀
Ⅳ.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상권에서 ‘장소성’은 유효한가?
-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음악산업 장(場)으로의 전환 - 걸밴드 QWER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간 관계연구
- 공공예술의 장르별 공공미션 및 실천 양상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공공예술지원사업 사례 분석(2020-2023)
- 장소마케팅 믹스 요소(OIPTCR)를 통한 장성군 미식 생태계 분석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어린이박물관 성과평가지표 개발 - 수정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 방송 제작 스태프의 장르 및 임금 결정 요인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스태프를 중심으로
- 중국 Z세대의 한국 스트리트 패션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