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급망 역량이 공급망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유연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Supply Chain Capabilities on Supply Chain Resilience :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Flexibility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성현정(Hyun-Jung Sung)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5권 제2호, 99~1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급망의 역량인 민첩성, 적응력, 일치성이 공급망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조직 유연성이 이들 요인 간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국내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76개 응답을 회수하였고 가설 검정을 위해 PLS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급망 민첩성은 공급망의 적응력과 일치성그리고 공급망 복원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급망의 적응력과 일치성 또한 공급망 복원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급망 민첩성이 공급망 복원력에 미치는 과정에서 공급망 적응력과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연구에서 적응력과 일치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정(+)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 유연성의 조절 효과에 대해서는 공급망 민첩성과 공급망 적응력, 일치성 간에 조직 유연성이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공급망 민첩성, 적응력, 일치성과 공급망 복원력 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급망의 복원력은 단순히 충격에 대한 신속한 대응(민첩성)뿐만 아니라, 장기적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적응력)과 공급망 내 이해관계자 간의협업 체계 구축(일치성)이 함께 고려될 때 극대화될 수 있으며, 공급망 복원력을 향상하기 위해 조직의 유연성을 전략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supply chain capabilities—agility, adaptability, and alignment—on supply chain resilience, while also examining whether organizational flexibility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domestic manufacturing firms, yielding a total of 176 responses,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PLS-SEM).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supply chain ag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supply chain adaptability, alignment, and resilience, and both adaptability and alignmen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resilience. Second, i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upply chain adaptability and alig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agility and resilience, both adaptability and align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mediating effect. Finally,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lexibility,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flexibil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y chain agility and both adaptability and alignment. Additionally, organizational flexi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y chain agility, adaptability, alignment, and resilienc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supply chain resilience is maximized not only through rapid responses to disruptions (agility) but also by incorporating long-term adaptive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adaptability) and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supply chain stakeholders (alignment). Furthermore, strategic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flexibility is necessary to enhance supply chain resil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모형 및 연구가설
Ⅳ. 연구 방법 및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현정(Hyun-Jung Sung). (2025).공급망 역량이 공급망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유연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 물류학회지, 35 (2), 99-112

MLA

성현정(Hyun-Jung Sung). "공급망 역량이 공급망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유연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 물류학회지, 35.2(2025): 9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