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공급체인 관점에서 본 K-드라마 유통 구조 분석 - 오징어 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Global Supply Chain of K-Dramas : Focused on the Case of Squid Ga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김종서(Jong-Sue Kim) 안영효(Young-Hyo Ahn)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5권 제2호, 67~8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인 K-드라마의 글로벌 공급체인 구조를 분석하고, 콘텐츠 유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Netflix를 통해 94개국 이상에 유통된 K-드라마 “오징어 게임”이며, 콘텐츠 제작사, 플랫폼, 번역사, 소비국 등 공급체인 참여 주체 간의 관계를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통해 구조화하였다. 아울러 국가별 시청시간, 수출액, 번역 언어 수를 수집하여 회귀분석 및 클러스터링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SNA 결과, Netflix는 Degree, Closeness, Eigenvector 중심성 등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콘텐츠 유통의 핵심 허브로 기능하고 있었으며, 번역사는 높은 Betweenness 중심성을통해 병목지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국가별 콘텐츠 수출액은 시청시간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번역 언어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국가들은 고시청·고수출형, 중간 소비형, 저시청·저수출형 신흥시장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군집별로 콘텐츠 전략 차별화가 요구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K-콘텐츠의 글로벌 유통 전략을 공급체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한 사례로서, 한류 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전략 수립과 현지화 효율성 제고에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lobal supply chain structure of K-dramas as a representative form of Hallyu (Korean Wave) content and to identify key factors influencing content distribution performance.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K-drama Squid Game, which was distributed in over 94 countries via Netflix.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he relationships among core supply chain actors, content producers, platforms, translators, and consumer countries, were structurally modeled. In addition, country-level data on viewing hours, export volume, and number of translation langu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d clustering methods. The SNA results show that Netflix functions as the central hub of global distribution, with the highest values in Degree, Closeness, and Eigenvector centralities. Meanwhile, the translation agency exhibited high Betweenness centrality, indicating a potential bottleneck role.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xport volum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ational viewing hours (p < 0.001), while the number of translation languag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clustering analysis, countries were grouped into three distinct categories: high-viewership/high-export, mid-level consumers, and low-viewership/low-export emerging markets, suggesting the need for differentiated strategies by cluster.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case of analyzing the global distribution of K-content from a supply chain perspective and off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etwork-based strategies and enhancing localization efficiency to ensure the sustainable diffusion of Hallyu cont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서(Jong-Sue Kim),안영효(Young-Hyo Ahn). (2025).글로벌 공급체인 관점에서 본 K-드라마 유통 구조 분석 - 오징어 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물류학회지, 35 (2), 67-83

MLA

김종서(Jong-Sue Kim),안영효(Young-Hyo Ahn). "글로벌 공급체인 관점에서 본 K-드라마 유통 구조 분석 - 오징어 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물류학회지, 35.2(2025): 67-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