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문학 수업에서의 생성형 AI: 비판적 글쓰기와 디지털 분석 활동의 접목
이용수 60
- 영문명
- Generative AI in the English Literature Classroom: Integrating Critical Writing and Digital Analysis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슬(Seul Lee)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제29집 1호, 255~2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AI integration in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how AI tools both enhance and complicate traditional methods of literary instruction. Through analysis of student writing samples and classroom implementations using Lois Lowry’s The Giver, the study demonstrates the limitations of AI-generated literary analysis and how these limitations can be used to enhance students’ critical thinking when used as a pedagogical tool. The article details specific classroom activities that incorporate AI tools like ChatGPT and Voyant while maintaining student agency in textual interpret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AI can efficiently process textual data and generate basic analyses, its use in literature education should emphasize critical evaluation of AI-generated content rather than simple acceptance. The article concludes that successful AI integration in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requires careful instructional design that positions AI as a tool to stimulate, rather than replace, students’ analytical and creative engagement with literary tex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생성형 AI와 인지 그리고 의미생산
Ⅲ. AI를 비판적으로 활용한 교실 활동 - 『기억전달자』를 중심으로
Ⅳ. 결론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단상 서문
- 2025년 봄호 내러티브와 영어교육 서문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1호 목차
- 내러티브 텍스트를 활용한 심미적 감성 교육: 로알드 달의 『찰리와 초콜릿 공장』
- 심미적 감수성으로 이해하는 통합적 내러티브: 진 투머의 「핏빛 불타는 달」과 「조지아의 초상」
- ‘사고하고 느끼고 행하는’ 심미적 감성 교육과 영문학 읽기의 가능성: 단막극 『트렌턴과 캠던으로의 즐거운 여행』의 사례
- 초등 방과 후 영어 강사의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I 피드백 기반 내러티브 EFL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AI 시대의 내러티브와 공감 교육: <영어 읽기: 스토리와 공감> 교과목을 중심으로
- 콘래드의 「진보의 전초기지」에서 관료주의,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작동방식
- 영문학 수업에서의 생성형 AI: 비판적 글쓰기와 디지털 분석 활동의 접목
- 하킴 올루세이의 『퀀텀라이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소외 계층에 대한 특별 지원 교육의 역할
- 『햄릿』과 청소년 영소설 - 매튜 퀵(Matthew Quick)의 『용서해줘, 레너드 피콕』(Forgive Me, Leonard Peacock)을 중심으로
- 공감능력과 서사적 상상력: 기술 자본주의 시대의 민주적 시민역량 교육
- 삶과 내러티브, 그리고 영어 교육
- 『즐거운 우체부』 시리즈 - 그림책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 교육
- 『휴고 카브레의 발명』과 경계 넘나들기의 가능성
- 배제에서 돌봄으로: 『클라라와 태양』, 인간에 대한 재정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