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고하고 느끼고 행하는’ 심미적 감성 교육과 영문학 읽기의 가능성: 단막극 『트렌턴과 캠던으로의 즐거운 여행』의 사례
이용수 32
- 영문명
- Aesthetic Sensibility Education and Reading English Literature to Think, Feel, and Act: A Case of One-Act Play, The Happy Journey to Trenton and Camden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만(Jungman Park)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제29집 1호,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mong the high school English cours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vised 2022 curriculum,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Reading English Literature’. This subject has its identity as a reading content that connects basic English language skills to an understanding of society, culture, and life through appreciation of various genres of English literature, and further expands them to the value orientation of ‘aesthetic sensibility’ that ultimately maintains community empathy. In this regard, the need for an education plan centered on narrative competency for fostering aesthetic sensibility and the discovery of English literary texts as optimal narrative content for this purpose are more urgent than 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English drama genre as a medium for English reading education. In particular, keeping in mind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centered on literacy competency for fostering aesthetic sensibility, it seek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English dramas as ‘good’ literary texts that fit this purpose. To this end, American writer Thornton Wilder’s one-act play The Happy Journey to Trenton and Camden (1931) will be used as a specific case. According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work as English reading content for cultivating aesthetic sensibility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literary quality of the text itself, the ease of use in the classroom, and examples of application to classes.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기: 영어 교육이자 문학을 통한 교육
Ⅱ. 문학적 특질: ‘사고하고 느끼는’ 심미적 감성
Ⅲ. 교실 현장 활용의 수월성: ‘행하는’ 심미적 감성 교육
Ⅳ. 수업 적용 사례: <영어연극연습>
Ⅴ. 나가기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단상 서문
- 2025년 봄호 내러티브와 영어교육 서문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1호 목차
- 내러티브 텍스트를 활용한 심미적 감성 교육: 로알드 달의 『찰리와 초콜릿 공장』
- 심미적 감수성으로 이해하는 통합적 내러티브: 진 투머의 「핏빛 불타는 달」과 「조지아의 초상」
- ‘사고하고 느끼고 행하는’ 심미적 감성 교육과 영문학 읽기의 가능성: 단막극 『트렌턴과 캠던으로의 즐거운 여행』의 사례
- 초등 방과 후 영어 강사의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I 피드백 기반 내러티브 EFL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AI 시대의 내러티브와 공감 교육: <영어 읽기: 스토리와 공감> 교과목을 중심으로
- 콘래드의 「진보의 전초기지」에서 관료주의,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작동방식
- 영문학 수업에서의 생성형 AI: 비판적 글쓰기와 디지털 분석 활동의 접목
- 하킴 올루세이의 『퀀텀라이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소외 계층에 대한 특별 지원 교육의 역할
- 『햄릿』과 청소년 영소설 - 매튜 퀵(Matthew Quick)의 『용서해줘, 레너드 피콕』(Forgive Me, Leonard Peacock)을 중심으로
- 공감능력과 서사적 상상력: 기술 자본주의 시대의 민주적 시민역량 교육
- 삶과 내러티브, 그리고 영어 교육
- 『즐거운 우체부』 시리즈 - 그림책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 교육
- 『휴고 카브레의 발명』과 경계 넘나들기의 가능성
- 배제에서 돌봄으로: 『클라라와 태양』, 인간에 대한 재정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