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이용수  0

영문명
Motherhood and Citizenship Excluded from the ‘Good Life’ in White Suburbia: Celeste Ng’s Little Fires Everywher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정희연(Heeyeon Jeong)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64집, 71~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셀레스트 잉의 소설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는 1990년대 말 오하이오주 셰이커 하이츠를 배경으로, 백인 중산층 교외 공동체에서 ‘좋은 삶’이라 불리는 이상이 가족, 재산, 규칙과 같은 사적 가치들과 결합하여 공동체의 공적 기준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로런 벌랜트의 저작들인 『미국의 여왕 워싱턴 시에 가다』, 『잔인한 낙관』 및 ‘시민권’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감정과 애착이 시민의 자격을 구성하고 공동체 내부에서 정서적 기준이 되는 방식을 살핀다. 리처드슨 부인이 체현하는 규범적 모성은 ‘좋은 삶’에 대한 정동적 애착과 맞물리며, 공동체의 타자에 대한 선별적 수용과 배제를 낳는다. 특히 아시아계 아동의 양육권 소송은 ‘좋은 어머니’와 ‘미래의 시민’이라는 관념이 인종과 계급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는 현실을 드러낸다. 이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정동과 친밀성의 정치가 어떻게 공적 질서를 형성하고 유지하는지를 비판적으로 추적하며, 문학 텍스트가 감정 정치와의 교차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영문 초록

Celeste Ng’s Little Fires Everywhere takes place in Shaker Heights, Ohio, in the late 1990s, and closely examines issues of family, community, race, and class. This paper focuses on Elena Richardson, a white middle-class woman who believes strongly in rules, order, and what she perceives as a ‘good life.’ It explores how her beliefs shape the way she judges others and tries to control the world around her. Drawing on Lauren Berlant’s theories of citizenship and cruel optimism, the paper looks at how Richardson’s sense of right and wrong allows some people to belong while pushing others out. The paper also analyzes the custody battle over an Asian American baby, showing how ideals of good motherhood and citizenship often depend on race and class. Through these stories, Little Fires Everywhere reveals who gets included in the promise of a good life—and who is left out. The novel illustrates how private lives and public values were deeply connected in shaping the imagined future of American society. This paper reads Little Fires Everywhere as a critical reflection on how ideals of the good life were maintained, negotiated, and enforced in late twentieth-century suburban America..

목차

1. 들어가며
2. 셰이커 하이츠의 ‘좋은 삶’
3. 누가 미국 ‘시민’의 어머니인가
4. 나가며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희연(Heeyeon Jeong). (2025).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영미연구, (), 71-92

MLA

정희연(Heeyeon Jeong). "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영미연구, (2025): 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