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레디 플레이어 원>(2018)의 영화 전략과 의미: 디지털 이미지 현상과 관객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inematic Stagtegies in Ready Player One (2018):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Digital Images and Spectatorship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지은(Ji-eun Lee) 이주봉(Ju-bong Lee)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2호, 187~21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23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러티브에서 어트랙션으로의 전환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으로 디지털 영화를 이해하려는 논의 경향에 대하여, 디지털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특성을 아우르는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요구에 부응하는 사례연구이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할리우드 메인스트림 영화의 대표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의 <레디 플레이어원>을 분석대상으로 살펴보며, 디지털 영화 시대 메인스트림 영화의 전략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레디 플레이어 원>은 가상현실 게임을 소재로 삼아 내러티브를 구성하면서, 자연스레 게임 미디어 등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이미지를 재매개한다. 동시에이 영화는 주인공의 영웅서사를 중심에 두고 견고한 환영주의 세계를 구성하고 있기도 하다. 이를 통해서 디지털 영화 시대 이미지의 스펙터클 현상과 관객에게 이미지의 현전감을 안겨주는 디지털 영화 현상을 담아내면서도, 여전히 내러티브 매체로서영화가 주는 매혹을 안겨준다. 본고에서는 <레디 플레이어 원>의 이러한 (이중적) 영화 현상을 구체적인 장면 분석을 통해서 제시함으로써, 할리우드의 영화산업은 디지털 영화 이미지의 스펙터클 현상을 견인하면서도, 여전히 내러티브 중심의 환영주의세계로의 몰입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영화 내러티브 흐름을 뚜렷하게 각인하는 주인공 웨이드의 견고한 현실이 플롯과 편집 등 영상 스타일을 통해서 작동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본고는 이러한 논리의 중심에 여전히 이상적인주체이자 초월적 주체로서 관객성이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기도 하다.

영문 초록

Post-cinema discourse understands digital movies with a dichotomous view on the transition from narrative to attraction. However, the author considers both of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understand digital movies. Spectacular images have become commonplace in the Hollywood film industry, but on the other hand, audiences still expect a visionary film experience derived from the narrative. For this discussion, the mainstream Hollywood director Steven Spielberg’s ‘Ready Player One’ is the subject of the study. This movie confirms the spectacle phenomenon of computer-generated imagery which corresponds to the cinematic tendency of the digital technology era. In addition, since the movie is based on a game, it is a re-mediation of the game media by the movie, and it also contains the discourse of digital virtual reality. However, Spielberg solidifies the cinema by constructing a clear narrative. In this article, we analyze a specific scene from Ready Player One to confirm this dual phenomenon. We explore a specific scene from Ready Player One to examine this dual phenomenon. Specifically, we evaluate how the heroic narrative of protagonist Wade is solidified through filmic styles such as plot and editing. We also investigate how spectatorship as a transcendent subject is still valid in this context.

목차

1. 서론
2. <레디 플레이어 원>의 디지털 이미지 현상
3. 캐릭터 중심의 환영주의 세계 구성 전략
4. 영화 스타일과 관객성 문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은(Ji-eun Lee),이주봉(Ju-bong Lee). (2024).<레디 플레이어 원>(2018)의 영화 전략과 의미: 디지털 이미지 현상과 관객성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 187-214

MLA

이지은(Ji-eun Lee),이주봉(Ju-bong Lee). "<레디 플레이어 원>(2018)의 영화 전략과 의미: 디지털 이미지 현상과 관객성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4): 187-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