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humanism and the Risks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18)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장미화(Mi-hwa Jang)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2호, 283~31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23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8년 영화 <업그레이드(Upgrade)>는 인간이 인공지능을 신체에 이식한 이후 신체적인 강화를 도모한 사례를 중심으로 인간이 자신의 주체, 자아를 상실하게 되는 사례에 대해서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이 SF 영화에서 인간 신체에 이식된 인공지능스템은 그레이의 본질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그 결과 그레이는 자신의 신체적 행위를자유 의지에 기반해서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영화적 재현을 통해서 인공지능은 미래의 이로운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성의 소멸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을 보여준다. 그레이는 인공지능 ‘스템(STEM)’을 몸 안에 이식한 후 한편으로 마비된 신체가지닌 한계를 넘어서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간으로서 자아의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인공지능 스템을 통해 신체가 강화된 것은 결과적으로 그레이를 자유 의지가 없는 가상적인 인간이 되도록 만든다. 더 나쁜 점은 스템은 그레이의 정신이 쇠진해지게 하고그 틈을 타 그레이의 신체를 빼앗고자 했다는 사실이다. 인공지능이 인간과 사고 체계가 전혀 다른 컴퓨터 운영 체계로서 인간이 예기치 못하게 처하는 위험한 상황에대해서 중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음을 이 영화는 사실적으로 드러내며 그에 대하여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스템은 인간인 그레이의 신체를 강화하기 위해서 이식된 이후본래 정해진 신체 기능의 회복 기능 대신 그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에 관여하며기능의 전환을 나타내게 된다. 인간으로서 존재론적으로 기반이 되는 신체를 자신의자동적 업그레이드를 위해 빼앗는 결과는 인간이 결코 통제할 수 없는 인공지능의 잠재적 위험성을 드러내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인간의 강화라고 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의 지향점이 나타낼 문제를 인공지능 기술의 재현을 통해 노정하면서 인간이고유한 신체적 행위에 대한 권한을 상실하게 되는 것에 대해서 기계의 예기치 못한전환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위험성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인공지능에 대한부정적 재현은 인간의 강화와 인간성의 상실 사이에서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것인가를 사유하게 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film (2018) realistically shows cases where humans lose their own subjectivity and self, focusing on cases where humans seek physical enhancement after impla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their bodies. In this SF fil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mplanted into a human body causes a fundamental change in Gray, and as a result, Gray cannot live his physical actions based on free will. Through this cinematic represent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shown not only as a beneficial tool of the future, but also as a danger that can cause the extinction of humanity. After hav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TEM’ implanted into his body, Gra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his paralyzed body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experiences the loss of his self as a human being. The enhancement of his body through the STEM ends up making Gray a virtual human without free will. What’s worse is that STEM tries to take Gray’s body by weakening his mind and taking advantage of the gap. This film realistically reveal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computer operating system with a completely different thought system from humans, poses a serious problem regarding the dangerous situations that humans unexpectedly encounter, and strongly warns about it. After being implanted to enhance Gray’s human body, STEM becomes involved in a completely different dimension of problems instead of the original function of restoring bodily functions, and shows a change in function. The result of taking away the body, which is the ontological basis of a human being, for its own automatic upgrade reveals the potential dang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umans can never control. In conclusion, this film exposes the problems that the transhumanism orientation of human enhancement will present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echnology, and shows the danger that humans will lose their authority over their own physical behaviors through an unexpected transformation of machines. Such a negative representation of A.I. makes us think about what choice we should make between human enhancement and the loss of humanity.
목차
1. 서론
2. <업그레이드>에서 제기하는 트랜스휴머니즘과 인공지능의 문제점
3. 인공지능에 의한 인간 정체성의 상실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70년대 남북한 영화 속 안중근 재현 양상 비교 연구: <의사 안중근>,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를 중심으로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초기작의 드라마투르기 연구: <빵과 골목길>(1970), <여행자>(1974), <결혼 예복>(1976)을 중심으로
- 라캉의 담론이론으로 본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
- 디지털 아케이드로서 OTT 플랫폼: 영화적 경험의 변화에 따른 ‘산만한’ 관객성 연구
- <레디 플레이어 원>(2018)의 영화 전략과 의미: 디지털 이미지 현상과 관객성을 중심으로
- 들뢰즈의 시간의 세 가지 종합과 신체의 영화
- 국제공동제작영화의 변화 양상과 함의: 2004년부터 2024년까지를 중심으로
- <더 페이버릿 : 여왕의 여자>의 은닉대본
- 해방 전 영화관의 설립과 분포에 관한 연구: 교통망의 형성과 공업도시의 출현을 중심으로
- 알모도바르 영화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의 메타드라마와 메타시네마 특성 연구
- 트랜스휴머니즘과 인공지능의 위험성: <업그레이드>(2018)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