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를 통한 도시브랜드 활성화: 한·중 도시의 공진화 전략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Revitalizing City Brands through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Focusing on Co-evolutionary Strategies in Korean-Chinese citi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이나(Yina Jin) 이병민(Byungmin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9권 제1호, 143~1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는 창의성을 도시개발의 전략적 요소로 삼는 글로벌 네트워크로, 2004년 출범 이후 ‘도시 외교’의 좁은 의미를 넘어 전 세계 도시 간 포용적이고 경계를 뛰어넘는 협력을 촉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본 연구는 UCCN을 통한 도시브랜드 활성화 사례를 살펴보고, 창의성과 문화적 혁신이 도시 발전에 미치는 질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UCCN ‘공예 및 민속예술’ 분야를 주목하여, 한국 청주시와 중국 징더전시를 비교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로 다른 국가적 맥락 속에서 각 도시가 가진 문화자산, 창의적 인재, 문화정책 등을 바탕으로 ‘공예와 민속예술’에 집중하는 도시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중 도시 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UCCN 내 공진화 전략의 도시브랜드 활성화 잠재력을 강조하며,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브랜드 강화와 문화적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UCCN을 통해 한·중 도시의 공진화 전략 수립과정을 모델화를 통해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UCCN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의 장점을 보여줌으로써, 도시 브랜딩 및 발전에 관한 학문적 담론에 기여하고 정책 입안자와 도시 계획가들이 문화적·창의적 자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UCCN) recognizes creativity as a key driver of urban development and has fostered inclusive, cross-border cooperation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04. This study examines the qualitative impact of creativity and cultural innovation on city branding, focusing on the “Crafts and Folk Art” sector within UCCN.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Cheongju, South Korea and Jingdezhen city, China, this study explores how cultural assets, creative talent, and policy frameworks shape urban identity and development.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potential of Korea-China cooperation and underscores the strategic role of co-evolutionary strategies in enhancing cultural competitiveness. Ultimately,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contributing to academic discourse while offering policy insights for leveraging creativity in city branding.
목차
Ⅰ. UCCN을 통한 도시 간 협력과 도시브랜드 활성화
Ⅱ. 이론적 접근
Ⅲ. 사례분석
Ⅳ. UCCN을 통한 도시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한·중 도시의 공진화 전략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 경제제재가 중앙아시아 5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에 미치는 영향: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
-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사례로
- 취약국의 UN 자발적 국별 리뷰(VNR) 분석: SDG 목표 16번을 중심으로
- Heterogeneous Impa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Ecological Footprint in Southeast Asia
- 스웨덴 사례를 통해 살펴 본 이민자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투표권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를 통한 도시브랜드 활성화: 한·중 도시의 공진화 전략을 중심으로
- 김정은 정권 「우주개발법」 10년의 입법 분석과 정치·군사적 의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