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 경제제재가 중앙아시아 5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에 미치는 영향: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Sanction against Russia and Central Asia’s participation on Global Value Chain: An Empirical Investigatio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원기(Wongi Kim)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9권 제1호, 69~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크림반도 사태이후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가 중앙아시아 5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참여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중앙아시아 5개국의 중간재 수출 데이터와 이중차분법을 이용한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는 중앙아시아 5개국의 중간재 수출을 10~20%가량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중간재 수출의 감소는 1차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에서 비교적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 국가에 대한 경제제재가 제 3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economic sanctions against Russia after Annexation of Crimea on the participation of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in global value chains. To this endi, I use data on intermediate goods exports of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from 2011 to 2022 and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economic sanctions against Russia reduced intermediate goods exports of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by 10-20%. The decline in intermediate goods exports was relatively uniform across primary,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The results imply that sanction on one country affects other countries’ participation on global value chain.
목차
Ⅰ. 서론
Ⅱ. 데이터 및 계량방법론
Ⅲ. 추정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 경제제재가 중앙아시아 5개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에 미치는 영향: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
-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사례로
- 취약국의 UN 자발적 국별 리뷰(VNR) 분석: SDG 목표 16번을 중심으로
- Heterogeneous Impa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Ecological Footprint in Southeast Asia
- 스웨덴 사례를 통해 살펴 본 이민자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투표권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를 통한 도시브랜드 활성화: 한·중 도시의 공진화 전략을 중심으로
- 김정은 정권 「우주개발법」 10년의 입법 분석과 정치·군사적 의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