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사례로

이용수  0

영문명
An Examination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Intermediate Organization in Regional Industrial Policy: the Case of Chuncheon Bioindustry Foundatio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김경환(Kyoung-Hwan Kim)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29권 제1호, 93~11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사례를 미국 보스턴 바이오산업의 중간조직인 랩센트럴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 지역산업정책의 중간조직(intermediate organization)이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스턴 랩센트럴 사례가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과 같은 한국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 포지셔닝 측면에서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은 post-BI에 초점을 두고 있다. 랩센트럴은 초기창업기업에 집중해 빠른 기술 선택과 순환을 통해 기회비용을 줄이고 기업 성장 경로를 다변화함으로써 바이오 클러스터가 역동적으로 진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반면,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은 비교적 가능성이 검증된 기업에게 10년에 걸친 입주기간과 백화점식 기업지원을 통해 정책사업의 실패를 방지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둘째, 한국은 정부와 지자체가 산업정책을 주도하고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과 같은 중간조직들이 공공의 산업정책 방향에 맞추어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첨단산업이라고 일컬어지는 바이오산업을 발전주의 정책 양식의 잔재로 육성하는 아이러니로 인해 중간조직들이 “그들만의 리그”에 빠져들어 바이오 클러스터의 성장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셋째, 바이오산업에서 보이는 기업 진입과 퇴출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중간조직은 투자 유치와 인수·합병 과정에서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들은 대량생산 체계를 기준으로 하는 기업 성장모델을 운영하고 있어서 바이오산업 생태계에 대한 기여가 미흡하다. 넷째.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은 지식 문지기로서 글로벌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 중간조직은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의 매개고리 역할을 강화해서 일시적 클러스터를 통해 공간적 범위를 초월하는 관계적 근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비롯한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은 지금까지 지역산업을 성장시켜 온 지역의 제도적 역량과 비전제시자의 리더십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기능과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roles of intermediate organizations in Korean regional industrial policy. Some findings highlight several critical implications by comparing two intermediate organizations, the Chuncheon Bioindustry Foundation(CBF) in Korea and LabCentral in Boston, US. First, regarding strategic positioning, CBF focuses on post-business incubation(post-BI), whereas LabCentral emphasizes early-stage startups, accelerating technology validation, reducing opportunity costs, and fostering dynamic cluster evolution. Second, Korea’s intermediate organizations are heavily influenced by government-led industrial policies, creating an irony that governments are managing advanced industries like biotechnology under a legacy of developmental state frameworks. Third, considering the bioindustry’s diverse entry and exit dynamics, intermediate organizations should expand their roles in investment attraction and M&A activities to support varied growth trajectories. Fourth, regional intermediate organizations must strengthen global linkages as knowledge gatekeepers to enhance transregional proximity beyond temporary clusters. While CBF and similar intermediate organizations under Korean regional industrial policy have contributed to local industrial growth through institutional capabilities and leadership, their dependence on public-sector policies necessitates resetting their functions and strategic orientation for sustainable cluster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Ⅲ. 미국의 바이오산업 클러스터의 중간조직 기능과 역할: 랩센트럴 사례
Ⅳ.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의 기능과 역할
Ⅴ. 결론 :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에 대한 성찰적 접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환(Kyoung-Hwan Kim). (2025).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사례로. 국제지역연구, 29 (1), 93-115

MLA

김경환(Kyoung-Hwan Kim). "지역산업정책 중간조직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사례로." 국제지역연구, 29.1(2025): 93-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