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

이용수  9

영문명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in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of Special Needs Children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순옥(Soonok Kim) 최지영(Jiyoung Choi)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1호, 113~1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교육프로그램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 대전, 충정 지역 소재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52명을 대상으로 부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경험에서 교육 방법은 ‘참관 및 부모 참여 수업’이 28.8%, 참여 제약 사항은 ‘자녀를 맡길 곳이 없어서’가 55.5%, 교육 내용은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이 55.8%, 교육 성과는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61.5%로 가장 높았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이 1.9로 나타났고, 부모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지원 요구에서 부모 교육 형태는 ‘개별상담’, 장애아동 관련 내용은 ‘장애아동 성교육’, 가족 지원 관련 내용은 ‘부모와 교사의 긍정적 관계를 위한 의사소통 방법’, 장애인 복지 관련 내용은 ‘장애아동의 학교 졸업 후 취업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 학력과 연령, 자녀 성별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for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of special needs children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Metho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2 parents of special needs children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Daejeon, and Chungcheong regarding their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parents experiences, ‘observation and parent participation classes’ was the highest at 28.8% for the educational method; ‘no place to leave my child’ was the highest at 55.5% for the limitation on participation; ‘knowledge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the highest at 55.8% for the needed educational content;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children’ was the highest at 61.5% for the goal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ogram was 1.9,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parental age. Second, in terms of parental support needs, the most common type of parental education was ‘individual counseling,’ and the most common contents were ‘sex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communication methods for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employment issues for disabled children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depending on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age as well as the gender of the chil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y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옥(Soonok Kim),최지영(Jiyoung Choi). (2025).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7 (1), 113-140

MLA

김순옥(Soonok Kim),최지영(Jiyoung Choi).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7.1(2025): 11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