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인의 행복, 행복성장이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취업 안정성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The Effects of Happiness and Happiness Growth of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Employment St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혜진(HyeJin Kang) 최희철(HeeCheol Choi)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1호, 57~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취업 안정성이 청각장애인의 행복과 행복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장애수용 및 긍정적 대인관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19세 이상 청각장애인 254명을 대상으로 Mplus7을 사용하여 무조건부 잠재성장모형, 조건부 잠재성장모형 다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업 안정성에 따라 행복 초기치 평균은 차이를 보였으나, 행복성장의 변화율은 유사하게 선형 증가했다. 둘째, 행복(초기값)과 행복성장(변화율)은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집단 간에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행복(초기값)과 행복성장은 긍정적 대인관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집단 간에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청각장애인의 행복 초기치와 행복성장이 높을수록 장애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향상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job stability on the happiness and happiness growth of individuals with hearing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s with disability 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thods: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targeting 254 hearing-impaired individuals aged 19 or older. Multi-group analyses using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latent growth models were conducted with Mplus7.
Results: First, the initial level of happiness differed between the job stability and instability groups, but the growth rates of happiness showed similar linear increases over time. Second, the initial happiness and happiness growth significantly predicted disability acceptance, with no differences in effects between groups. Third, the initial happiness and happiness growth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no differences in effects between groups.
Conclusion: Higher initial happiness and happiness growth among individuals with hearing disabiliti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disability acceptance and better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 장애 자녀를 둔 아버지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 행동중재 슈퍼비전 체계 구축을 위한 델파이 조사: 기능 기반의 행동중재계획 훈련 모듈과 온라인 소집단 슈퍼비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
- 청각장애인의 행복, 행복성장이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취업 안정성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다문화 장애학생의 교육적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
- 자폐성장애 학생이 속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클래스도조(ClassDojo)앱을 활용한 좋은행동 포착게임(CBGG)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