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 영문명
- Effects of Discussion-Based Civic Education on the Civic Consciousness and Self-Ex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가현(Ga-Hyun Park) 김유리(Yu-ri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1호, 27~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I시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5명의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3~4명의 소집단을 구성한 후,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 11회기를 실시하였다.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이 학생의 민주시민의식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재 실시 전과 후, 민주시민의식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자기표현력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은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은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민주시민교육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토의와 신문을 발달장애학생 교육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cussion-based civic education on the civic consciousness and self-ex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5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rolled i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The students were organized into small groups of three to four students, and 11 sessions of discussion-based civic education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cussion-based civic education on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and self-expression, a paired sample t test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score and post-score of the civic consciousness test, and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score and post-score of the self-expression test.
Results: Discussionbased civic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ivic awareness and self-ex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ositive impact of civic education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utilized discussion and newspaper to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의 기반 민주시민교육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 장애 자녀를 둔 아버지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 행동중재 슈퍼비전 체계 구축을 위한 델파이 조사: 기능 기반의 행동중재계획 훈련 모듈과 온라인 소집단 슈퍼비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 부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경험 및 지원 요구
- 청각장애인의 행복, 행복성장이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취업 안정성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다문화 장애학생의 교육적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
- 자폐성장애 학생이 속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클래스도조(ClassDojo)앱을 활용한 좋은행동 포착게임(CBGG)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