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이츠의 작품과 일연의 『삼국유사』에서의 춤의 향연

이용수  0

영문명
Feast of Dance in Yeats’s Work and Iryeon’s Samkukyusa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유육례(Yukrye Yu)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63권, 199~21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이츠와 일연의 춤 이미지는 유사한 점이 있다. 이 글은 아일랜드의 시인 예이츠의 시에 재현된 춤과 일연의 『삼국유사』에 서술된 춤의 이미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예이츠는 시에, 일연은 설화에 춤을 노래했다. 이는 춤으로 민족의 고결한 전통을 부활시키려는 노력이다. 그 작품들에서 춤의 이미지는 가면을 착용하여 성스러운 고요함의 춤을 추면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고 근심을 물리치려는 염원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 육체와 정신이 하나 되는 중개자의 역할을 한다. 예이츠와 일연 두 작가는 시와 설화를 춤의 제재로 사용하여 ‘존재의 통합’이나, ‘삶의 통합’으로 사람들이 행복을 갈망하는 성스러운 이미지를 재현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dance images in Yeats’s and Iryeon’s work. Yeats and Iryeon recorded them in their folktales, just as they were. This was the outcome of their efforts to revive identity through national dances. The dance images appearing in their works communicate the aspiration that people’s hopes would be fulfilled. They also wish that their concerns would be removed by wearing masks and performing holy and peaceful dances. Both writers selected and recorded such dances for national and individual welfare. Using folktales, legends, and dances as materials, they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people’s expressing their aspiration for living in happiness and prosperity; in their works appear holy images of Irish and Korean dances, such as ‘mystic songs’ and ‘artistic dan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육례(Yukrye Yu). (2020).예이츠의 작품과 일연의 『삼국유사』에서의 춤의 향연. 한국 예이츠 저널, (), 199-215

MLA

유육례(Yukrye Yu). "예이츠의 작품과 일연의 『삼국유사』에서의 춤의 향연." 한국 예이츠 저널, (2020): 199-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