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법체류 외국인 마약류 범죄의 실태와 억제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3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lity of Drug Crimes by Illegal Aliens and Plan for Deterrence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남재성(Jae Sung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7권 제3호, 70~93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불법체류 외국인의 마약류 범죄 실태와 특징 및 주요 동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마약류 범죄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불법체류 외국인의 마약류 범죄는 불법 입국이나 체류, 취업 알선 행위 등 불법행위를 조장하는 브로커와 연계되어 조직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법체류 외국인의 다수를 구성하는 태국, 베트남, 중국 등 3개국 출신 가운데 특히 태국 출신 불법 체류자들의 마약류 범죄가 심각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법체류 외국인들이 공급 및 투약하는 마약류의 범위가 매우 폭넓게 형성되고 있으며, 마약류의 투약은 외국인 전용 유흥업소는 물론 농어촌 지역에서도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불법체류 외국인들의 마약류 범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첫째, 마약류 범죄에 대응하는 통합적 컨트롤타워로서 가칭 마약청을 설립하여 마약류에 대한 단속과 수사는 물론 치료와재활, 국제 협력과 사법공조, 교육과 홍보 등 모든 과정을 전담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엄격한 입국심사를 통해 불법체류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 불법체류 브로커에 대한 단속 및 처벌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셋째, 마약류 일부 합법화 국가 출신 외국인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입국심사, 비자발급, 통관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체류과정에서도 마약류 범죄 예방 교육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지속적 관리와 정보수집 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불법체류 외국인 마약류 범죄 집단의 조직화 경향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를 더욱 확대하여 다양한 단속과 수사기법의 개발, 외국 관계 기관과의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법체류 외국인이 활동하는 마약류 범죄 조직 전체를 와해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인 밀집 유흥가 등 전통적 우범지역은 물론 건설현장과 농어촌지역 등에 대한 집중적 단속을 통해 마약류 범죄의 지역적 확산에 대응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ality, characteristics and key trends of drug crimes by illegal aliens, and seek a political plan for deterrence of their drug crimes.
Study results show that drug crimes by illegal aliens have been occurred systematically in connection with brokers who instigate illegal acts such as illegal entry or stay, job arrangement etc.
And among the ones from three countries such as Thailand, Vietnam and China organizing majority of illegal aliens, drug crimes by illegal residents from Thailand turned out to be quite serious.
In addition, the scope of drugs supplied and taken by illegal aliens is being formed very widely,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drugs are being used collectively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s well as in the places of entertainment exclusively for aliens.
Therefore, to deter drug crimes by illegal alien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stablish a tentative name the Drug Administration as an integrated control tower in response to drug crimes, and enable the administration to assume full charge of all processes such as treatment,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judicial mutual assistance,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s well as control and investigation of drugs.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illegal stay in advance through strick immigration check and expand crackdown on and punishment against brokers who encourage illegal stay.
Third, stricter immigration check, visa issuance and customs clearance must be carried out targeting aliens from some countries legalizing drugs, and continuous administration and intelligence collection are also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for prevention of drug crimes during their stay.
Fourth,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all the drug cartels consist of illegal alie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enforcement and investigation methods, cooperation with foreign relevant organizations by expanding current speci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for drug crimes to cope with the organizing trends of illegal alien criminal groups.
And it is also considered necessary to tackle regional diffusion of drug crimes through intensive crackdown on construction sites and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s well as on conventional crime-prone areas such as red light districts crowded with aliens.
목차
Ⅰ. 서론
Ⅱ. 외국인 입국과 체류의 법적 조건 및 불법체류 현황
Ⅲ. 불법체류 외국인 마약류 범죄의 실태와 주요 동향
Ⅳ. 불법체류 외국인 마약류 범죄의 억제 방안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적대적 2국 관계 선언의 함의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의 한계점 및 정립 방향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 살인범죄 양형요인 성차 연구 : 피해자 남녀 집단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장 중심의 테러 대응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프랑스 파리 테러와 호주의 시드시 인질극 사례를 중심으로
- 불법 투자 리딩방의 실태에 관한 연구
- 불법체류 외국인 마약류 범죄의 실태와 억제방안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수색제도의 도입 방향
- 형법 제98조(간첩죄)의 문제점과 합리적인 개정방안
- 모잠비크(Mozambique) 카보 델가도(Cabo Delgado) 위기에 관한 아프리카 안보협력의 다차원적 분석 : 르완다(Rwanda),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 그리고 아프리카연합(AU)을 중심으로
- 테러의심상황 신고 및 접수시 현장대응절차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