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이태와 『麻疹篇』에 대한 논란들에 대해서 - 유이태와 관련된 논쟁들과 향후연구방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Controversies around the Yoo Itae and the book of 『Chapter of Measles』 : Focusing on Debates related to Yoo Itae
발행기관
한국의사학회
저자명
김동율(Dong-ryul KIM) 김한결(Han-gyeol KIM) 이수윤(Soo-yoon LEE) 최영현(Young-hyeon CHOI) 차웅석(Wung-seok CHA)
간행물 정보
『한국의사학회지』제37권 제2호, 63~7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이태(1652-1715)는 조선숙종때 산청일대에서 명의로 이름난 실존인물이며 숙종의 진료에도 직접참여한 이력을 가진 명의였고 그 사실은 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나와있다. 그의 행적은 한국에서 허준과 동의보감이 유명세를 타고 드라마와 소설에 허준의 스승으로 류의태라는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면서부터 왜곡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왜곡은 사건의 발단이 된 노정우가 자신의 불찰이었다는 것을 시인했고, 드라마 허준의 연출을 맡았던 담당 프로듀서 역시 원작소설을 각색하는 과정에서 이 사실을 인지했지만 드라마에 반영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파생된 사안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다만 그가 저술한 마진편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소지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이태의 저작으로 알려진 마진편은 17세에서 18세기, 홍역이 맹위를 떨치고있을 때 지역사회에서 홍역을 치료하면서 남긴 중요한 기록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것은 마진편의 저자가 유이태냐 아니냐의 논쟁보다 훨씬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영문 초록

Yoo Itae (1652-1715) was a renowned physician in the Sancheong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he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royal medical treatments, a fact documented in the 『Annals of King Sukjong』 and the 『Seungjeongwon Ilgi』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His life and legacy began to be distorted in Korea after the fame of Heo Jun and 『Donguibogam』 grew, particularly with the creation of a fictional character, Ryu Uitae, as the teacher of Heo Jun in dramas and novels. This distortion was later acknowledged when Nho Jeong-woo (1918-2008), the source of the controversy, admitted his mistake. The producer responsible for the drama also recognized the issue during the process of adapting the original novel, but it was not reflected in the drama, and the resulting issues still persist. However, his authorship of 『Chapter of Measles』 remains a subject of debate. Nevertheless, there is no doubt that the text Majinbyeon, attributed to Yu Itaek, is a significant historical record from the 17th to 18th centuries, especially during the time when measles was rampant. It is an important document recording his treatment of measles in the local community. This matter holds far more value than the ongoing debate over whether Yu Itaek was the true author of 『Chapter of Measl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맺음말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율(Dong-ryul KIM),김한결(Han-gyeol KIM),이수윤(Soo-yoon LEE),최영현(Young-hyeon CHOI),차웅석(Wung-seok CHA). (2024).유이태와 『麻疹篇』에 대한 논란들에 대해서 - 유이태와 관련된 논쟁들과 향후연구방향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37 (2), 63-77

MLA

김동율(Dong-ryul KIM),김한결(Han-gyeol KIM),이수윤(Soo-yoon LEE),최영현(Young-hyeon CHOI),차웅석(Wung-seok CHA). "유이태와 『麻疹篇』에 대한 논란들에 대해서 - 유이태와 관련된 논쟁들과 향후연구방향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37.2(2024): 6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